설계비 확보하고도 10개월째 발주 못해
시, 뒤늦은 운영부담금 협의추진 구설수
|  | |
|
▲ 내년 1월 개통을 앞두고 있는 부산도시철도 양산선 1단계 구간 종점인 양산역 구간. 이미 수차례 개통이 지연되면서 시민들의 신뢰를 잃고 있는 양산선 건설 사업이 2단계 사업 시작부터 삐걱거리면서 시민들의 우려를 낳고 있다. |
|
수차례 개통 지연으로 구설수에 올랐던 부산도시철도 2호선 양산선 1단계(노포~양산역) 구간에 이어 2단계(양산역~북정) 연장 계획도 양산시와 부산교통공사의 엇박자로 차질을 빚고 있다. 더구나 올해 실시설계를 위해 시비 3억5천만원과 국비 5억원 등 모두 8억5천만원의 예산을 확보해놓고도 정작 부산시와 양산시 간 운영비 부담 문제 등에 합의점을 찾지 못해 건설협약 체결이 늦어지면서 국비 반납 우려마저 제기되고 있다. 올해 실시설계에 들어가야할 양산선 2단계 구간이 차질을 빚게 된 것은 부산시와 교통공사가 양산시와 건설협약체결이 지연되면서 실시설계 발주를 위한 사업주체가 확정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부산시가 건설교통부에 교부금(국비) 신청을 미루고 있어 10개월째 사업이 미뤄지고 있다. 또한 이달 말까지 건교부에 교부금 신청을 하지 않을 경우 이미 확보된 5억원을 받을 수 없는 것은 물론 자칫 국비를 반납해야할 처지에 놓인 것이다. 지하철 운영에서 해마다 적자를 감수하고 있는 부산시가 양산선 2단계 구간 개통 이후 예상되는 적자 부분을 양산시와 분담하기 위해 분담금 협상을 벌이면서 타결점을 찾지 못해 이같은 상황이 벌어진 셈이다. 또한 이미 2차례 개통이 연기된 양산선 1단계 구간에도 예상 적자를 양산시와 분담하기 위해 협의를 벌였으나 양산시가 이를 거부함에 따라 양산선 2단계 사업 추진에 부산시가 소극적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오근섭 시장 공약사업이기도 한 양산선 2단계 연장 사업이 출발 단계에서부터 불협화음이 일어날 기미를 보이자 양산시는 뒤늦게 부산시와의 협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부산시와 교통공사 관계자는 "건설협약체결을 통해 사업주체가 명확하지 않은 이상 사업 발주를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수차례 양산시에 협약체결을 요구해왔지만 현재까지 양산시가 소극적으로 임해왔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양산시 관계자는 "운영비 부담 문제 등으로 협약체결이 지연되고 있지만 2단계 구간의 운영비를 우리 시가 부담키로 결정한 만큼 올해 공사발주가 가능하도록 부산시와 최대한 빨리 협의를 끝내 계획"이라고 해명했다.한편 양산선 1단계 종점인 양산역에서 신기, 북부, 북정동까지 3.4㎞ 구간에 실시 예정인 양산선 2단계 공사는 오는 2012년까지 2천598억원이 투입될 계획이다. 하지만 양산선 1단계 구간 사업이 올해 운영적자 보전 등의 문제로 지난 9월 개통에서 내년 1월로 개통시기가 연장된 바 있다. 따라서 양산선 2단계 구간의 경우에도 사업이 원만히 추진되더라도 1단계 운영실적에 따라 사업 시기가 조정될 가능성이 남아 있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