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지난 7월 양산 지역이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된 지 3년 8개월만에 해제되었지만 9월부터 실시된 분양가상한제의 적용, 12월에 열릴 대선, 내년 4월 총선까지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들이 줄지어 있어 실수요자들의 매수 움직임은 이렇다 할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다. 또한 수요보다 많은 공급으로 이미 2천여세대를 꾸준히 유지하고 있는 미분양 아파트는 특별한 변수가 없는 한 증가 추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며, 사업 승인을 받고도 착공하지 않은 아파트가 사업 취소 절차를 밟는 일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경남도에 따르면 9월 현재 미분양 아파트 세대 수는 2천167세대로 올해 초 2천600여 세대가 미분양 아파트로 집계되었던 것에 비해 다소 줄어들었지만 2003년 투기과열지구 지정 이후 꾸준히 2천여세대를 웃도는 미분양 아파트 세대 수를 기록하고 있다. 더구나 이번 집계에는 지난 10월 분양을 시작한 대림산업의 e편한세상 3, 4차 아파트 1천882세대의 분양 결과는 반영되지 않았다. 대림이 실시한 청약기간 동안 1~3차 청약 접수 결과 1천882세대 가운데 고작 66세대만이 청약 접수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계약에 따른 분양율 역시 3~5% 남짓한 수치를 기록해 1천800여세대가 미분양 상태로 남게 된 것이다. 따라서 양산 지역 미분양 아파트는 3천여세대가 웃도는 수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사업 승인을 받고도 착공하지 않은 아파트 세대 수도 줄어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이미 3곳의 업체가 사업승인 기간을 연장하기 위해 시에 신청서를 제출한 상태. 아파트 건설 사업은 사업 승인 이후 2년 이내 착공을 해야 하며, 1차례에 걸쳐 1년간 착공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최근 사업승인 기간 연장 신청을 낸 3개 업체는 사업 승인 이후 2년이 지났지만 착공 계획을 마련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 관계자는 “아파트 분양 시장 경기가 원활하지 못해 쉽사리 분양 계획을 수립하지 못하는 업체들이 늘고 있다”며 “착공 기간 연장을 요청하는 업체들 대부분 수요보다 공급이 많은 현 상황을 우려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양산 지역에 사업 승인을 받고도 착공을 미루고 있는 아파트는 모두 22개 단지 1만7천508세대에 이른다. 또한 지난해 4월 신도시 2단계 지구내 526세대 아파트를 건축 중이던 ㄷ건설업체는 공사를 중단하기도 했으며, 동면 석산리 일대 777세대 국민임대아파트 건설사업을 추진해온 주공은 사업 승인 이후 1년만에 사업을 취소하기도 했다.이러한 현상에 대해 영산대 부동산금융학과 서정렬 교수는 “특히 부동산 정책의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 예상되는 대선과 총선으로 실수요자들이 매수 시점을 내년 봄 이후로 보고 있어 당분간 부동산 경기 활성화는 어려울 것”이라며 “신도시 2단계 5개 단지가 동시 입주를 시작하고 있지만 전세가가 분양가의 절반 정도에 머무르고 있는 현상은 시장이 그만큼 침체되어 있다는 반증”이라고 말했다. 또한 서 교수는 공급이 수요보다 많은 부동산 시장에서 부동산 투기 열풍으로 다소 과열된 부동산 가격이 조정국면을 거쳐 안정화되는 시기라는 전망도 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