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금역 인근에 사업이 중단된 채 25년째 그대로 방치되어 있는 시장건물이 있지만, 행정기관에서 지도ㆍ관리할 수 있는 방안이 없어 골머리를 앓고 있다. 특히 이곳은 사실상 시장으로의 기능도 상실한 상태로, 물금 구도심의 슬럼화를 부추기는 역할까지 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문제의 공사현장은 지난 1980년 7월 토지소유자 52명의 투자로 대지 2천853㎡에 지상2층, 점포수 179개 규모로 물금시장이 지어질 계획이었다. 하지만 공사가 진행되던 1981년 공사 진행자가 부도로 도주하면서 건물이 준공 되지 못한 채 방치돼 오고 있다. 그나마 토지소유자 가운데 10여명은 1982년 12월 건축물 가사용승인을 받아 지금까지 점포를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나머지 170여개의 점포는 철문으로 닫친 채 방치되어 있고, 외벽에는 철근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미관을 해치고 있을 뿐 아니라, 마감처리가 안된 콘크리트가 눈에 띄게 부식되고 있어 안전에도 위협을 주고 있다. 또 현재 이곳에는 5일장이 열려 도로변 주변 일부 노점상인들과 함께 시장을 형성하고는 있지만, 신도시 상가와 범어택지 상가 등으로 인해 시장기능이 아주 미비한 상태다. 당연히 시장으로 등록도 될 수 없기 때문에 시장정비사업이나 상점육성을 위한 지원도 전혀 받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하지만 시는 이러한 사실을 알고는 있지만 사유재산을 침해할 수 없다는 이유로 아무런 손을 쓰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리모델링이나 재건축을 하려해도 52명에 이르는 토지소유자의 의견이 서로 엇갈려 선뜻 추진할 수가 없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는 상황. 시 관계자는 "이러한 부도사업장 관리문제는 양산 뿐 아니라 전국적인 문제이기에 지난해 하나의 보완책으로 건축허가시 안전관리비 명목으로 공사비의 1%를 지자체에 예치하도록 하는 법을 제정하기도 했다"며 "하지만 물금시장은 이미 25년전 일이기에 현행법상 행정적 지도나 제재는 전혀 할 수 없어 사실상 행정 사각지대에 놓여있다"고 설명했다.지난 14일 시의회 정례회를 통해 물금시장 활성화 대책에 대해 시정질의를 하기도 했던 박정문(한나라, 물금ㆍ원동) 의원은 "시장 상인들이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하나둘 물금시장을 떠나고 있는 현실이 안타깝다"며 "시장으로서의 본연의 기능을 되찾기 위해서든, 재건축을 통해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기 위해서든 우선 시장 상인들이 번영회를 결성해 자구책을 찾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