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11월 미분양아파트 3천559세대 집계
수요보다 많은 공급과잉현상, 해결책 '안개 속'
4월 총선 정국에 따른 부동산 시장 변화에 주목
|  | |
|
|
|
2007년 한해 아파트 분양시장의 실적은 형편없는 미분양 사태를 기록하며 마무리를 맺었다. 지난해 1월 양산지역 미분양 아파트는 모두 2천685세대로 시작하면서 10월까지 완만한 감소 추세를 보여왔다. 하지만 지난해 10월 분양에 들어간 대림산업의 이편한세상아파트 3, 4차 1천882세대가 저조한 분양실적을 기록하며 11월 현재 미분양 아파트 수가 3천559세대로 집계되었다. 이 아파트는 3.3㎡당 800만원 이상으로 양산 지역 최고 분양가를 기록하며 부동산 시장의 관심을 모았지만 부동산 규제 정책에 따른 경기 하락, 과잉공급 등의 제약을 벗어나지 못하고 청약기간 동안 5% 남짓한 분양실적을 남겼다. 지난해 11월 기준으로 경남도내 미분양 아파트 수는 모두 1만3천884세대로,김해 3천884세대,양산 3천559세대로 도내 절반이 넘는 미분양 아파트가 김해와 양산에 몰려 있다. 동남권 신흥도시로 분류되는 김해와 양산의 저조한 아파트 분양률은 인근 부산, 울산 등지에서 유입되는 인구에 비해 아파트 공급이 늘어나면서 생긴 결과라는 분석이다. 장기적인 부동산 규제 정책이 실효성을 거두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지만 정작 수요를 뛰어넘는 아파트 공급 사업이 한계에 부딪친 것이 아니냐는 말이 더욱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올해 부동산 시장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을 보인다. 대선을 통해 이명박 당선자가 대통령직을 수행하면서 참여정부와 다른 형태의 부동산 정책을 펼칠 것으로 기대되고 있지만 '공급과잉현상'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다. 또한 다가오는 4월 총선 역시 이명박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뒷받침하는 법적 장치를 마련하는 시기라는 점에서 상반기 부동산 시장은 시장 변화를 주시할 뿐 구체적인 변동으로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한 마디로 날이 풀리기만을 기다리는 동물처럼 부동산 시장은 '긴 동면'의 시간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지난해 7월 양산지역이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된 지 3년 8개월만에 투기과열지구에서 해제되었지만 이미 수요를 초과한 공급으로 아파트 거래 시장은 얼어붙은지 오래다. 한편 2005년 사업승인을 받고도 착공하지 않은 동원아파트(신도시2단계, 600세대), 우방아파트 1단지(상북면, 440세대), 2단지(상북면, 557세대), 대한토지신탁(물금읍, 1천114세대), 대우아파트(신도시2단계, 838세대), GS아파트(신도시2단계, 1천60세대), 코오롱아파트(신도시2단계, 713세대) 등 8개 단지 사업장 모두 착공시기를 연기했다. 이들 아파트 단지는 사업승인 후 2년 내에 착공해야 하지만 아파트 분양시장 침체로 한 차례 사업승인기간 연장을 요청한 것이다. 시 관계자는 "수요보다 공급이 많은 상황에서 아파트 업체들이 쉽게 착공과 분양을 결정하지 못하는 분위기"라며 "현재 입주 중인 신도시 2단계 5개 단지 역시 입주율이 20% 안팎으로 저조하다"고 전했다. 한편 양산지역에 사업 승인을 받고도 착공을 미루고 있는 아파트는 모두 22개 단지 1만7천508세대에 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