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경찰서 이전부지가 물금신도시내 신주마을로 잠정 결정되면서 시에서 1억원의 예산을 들여 발주한 신기동 양산대교 인근 부지에 대한 도시계획(경찰서) 결정 용역사업이 납품 직전에 아무 소용이 없게 됐다. 더욱 문제인 것은 경찰서에서 이미 지난 해 토지공사와 협의해 신도시 지구단위 계획 변경을 통해 청사 건립의 법적 뒷받침을 진행해 왔고 얼마 전 재경부를 통한 부지 매입이 이루어졌음에도 양산시 담당부서에서는 까맣게 모르고 있었다는 것이다. 경찰서측에서는 아직까지 확정된 것은 없다고 하지만 저간의 경위를 살펴보면 이러한 답변은 시와 관계를 고려한 궁색한 변명에 지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양산경찰서는 80년대 중반 지금의 노인회관 자리에 있던 경찰서 사옥을 현 위치에 이전하였는데 최근 들어 급증하는 인구와 사회의 발전에 따라갈 수 없을 만큼 협소한 시설로 몇 년째 이전이 거론돼 왔다. 이 과정에서 신도시로 상권이 급격히 옮겨감에 따라 원도심의 슬럼화가 지역의 현안으로 대두되면서 경찰서마저 신도시로 이전하면 안된다는 여론이 대두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양산시는 여러 가지 대안을 제시하고 그 중에서 현재 녹지로 돼 있는 신기동 양산대교 오른쪽 농경지 5천여평을 이전 부지로 제시하고 도시계획 시설결정을 위한 용역을 발주했던 것이다. 시 관계자는 이같은 결정이 이루어지기까지 당연히 경찰서의 요구가 있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적어도 기관 상호간에 어떤 식으로든지 신기동으로 이전하는 문제에 있어 의견접근이 있었다고 보아지는데 느닷없이 경찰서에서 중앙정부를 통해 물금신도시 내 토지를 매입했다는 것은 납득하기 힘든다.우리는 경찰서 내부에서 신기동보다 신도시 내 토지로 이전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보다 유리한 근거가 있었기 때문에 이같은 조치가 이루어졌을 것으로 본다. 하지만 양산시에서 신기동으로 이전하는 데 있어 지원하는 부분을 포함해서 상당 부분 합의된 상태에서 용역 발주까지 이루어졌다면 그동안 토지공사와 협의과정에서 시와 의논조차 하지 않은 경찰서의 처사는 쉽사리 이해하기 어렵다 할 것이다.이렇게 지역내의 큰 두 단체간의 의사 소통이 불협화음을 낸다면 시민들이 어떻게 믿고 따를 것인가. 또 한가지 시민들의 입장에서 볼 때 적어도 경찰서의 이전 문제는 사전에 지역사회에 공론을 붙여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한 다음에 추진하는 것이 마땅하지 않겠느냐 하는 것이다. 보는 사람에 따라서는 신기동으로 가는 것과 신도시로 가는 것 모두 장,단점이 있고 이해관계가 다를 수 밖에 없다. 어느 곳이 꼭 낫다고 강조하기도 어려운 것이다. 그렇지만 대형 관공서가 자리를 옮기는 것이 몇 사람의 핵심인사들이 의논해서 결정해 버릴 사안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전이 미치는 지역사회의 영향도 고려해서 장,단점을 비교하고 시민들에게 공개하여 의견을 물은 뒤에 추진한다고 해서 곤란하다고 보지는 않는다.경찰서는 도시계획상 ‘공용의 청사’라는 도시계획시설의 하나로 분류돼 새로 입지를 하기 위해서는 도시계획으로 결정돼야 한다. 다시 말하면 시설 입지에 대한 토지 계획을 수립해 도시계획 입안의 과정을 거친다는 뜻이다. 이 과정에서 공람이 이루어지고 시민들의 의견이 수렴된다. 하지만 신도시내의 토지계획은 주민의견의 반영이 없이도 자체의 지구계획 변경의 승인만 받으면 가능하도록 돼 있다.따라서 이번에 재경부에서 조달구입한 토지에 경찰서가 이전하는 데는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안다. 어떻게 보면 도시계획 입안 절차를 거치고 정부부처와 지자체간의 재산 이관 협의를 필요로 하는 신기동으로의 이전보다 훨씬 더 빠른 시간 안에 이전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하지만 양산시 전체의 균형적인 발전을 추구하는 시청과의 불협화음이 이번 경찰서 이전 부지 문제로 불거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와 함께 1억원이라는 시민의 혈세로 추진되는 용역사업은 어떻게 정리될 것인지에 시민들은 귀추를 주목하고 있다.새해를 맞아 신년인사회를 통해 지역의 많은 지도층 인사들이 한자리에 모여 화합과 발전의 목소리를 드높였다. 지역사회의 발전은 그 내부의 여러 기관, 단체들의 유기적인 협조관계에서 비롯된다는 점을 부인할 수 없다. 이번 일을 계기로 기관간의 업무협조의 중요성을 다시한번 인식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