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개 마을을 지나는 도로가 생기면 주민들이 환영의사를 밝히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서창동 용암마을 주민들은 이를 반대하고 나섰다. 시가 주남교와 서창동 당촌마을을 잇는 제방도로 가운데 용암마을 구간을 확장하려 하자 마을 주민들이 ‘겹치기 공사’라며 문제를 제기한 것.시와 경남도에 따르면 수해상습지 개선사업의 하나로 지난 2005년 6월부터 140억원을 들여 올해 6월을 준공 목표로 경남도가 회야천 제방공사를 시행하면서 하천을 따라 6m 너비의 제방도로를 건설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시가 주남교에서 용암마을을 거쳐 당촌마을에 이르는 1.6km 구간 가운데 용암마을을 지나는 550여m 구간 제방도로를 10m 너비로 확장하는 계획을 세우자 용암마을 주민들이 겹치기 도로를 개설하는 것은 효용성도 없을 뿐만 아니라 예산낭비만 가져온다며 반대하고 나섰다. 주민들은 “경남도가 회야천 제방도로 공사를 위한 사업을 진행할 때는 가만히 있다가 한창 제방도로 공사가 진행 중인 지금에 와서야 뒤늦게 시가 용암마을 구간의 도로확장계획을 세우는 이유를 모르겠다”며 “6 m 너비의 도로만으로 충분히 이용할 수 있는데, 제방도로 공사가 끝난 뒤 또다시 도로를 확장하는 것은 주민들의 불편만 가져올 뿐”이라고 주장했다. 게다가 도로확장공사에 토지가 들어간 일부 땅주인들은 이미 제방도로공사에 들어간 토지를 제외하고 남은 땅의 토지활용계획을 세웠는데, 시가 계획 중인 도로확장을 위해 도로주변 토지를 추가로 떼어주고 나면 소유하고 있는 땅의 효용가치가 크게 떨어질 것을 우려해 반발하고 있다.하지만 시는 ‘효용성 없는 겹치기 도로개설’이라는 용암마을 주민들의 견해와 전혀 다른 입장이다. 제방도로 공사를 할 때 도로확장을 함께 하면 필요 없는 예산낭비를 막을 수 있어 ‘일석이조’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 뿐만 아니라 인근 소주공단의 물류수송과 교통체증 해소를 위한 국도 7호선의 배후도로 기능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제방도로를 10m 폭으로 확장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경남도가 개설하는 제방도로가 6m 너비라고는 하지만 마을을 통과하는 구간의 경우 주민들이 차량을 주차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도로 폭이 크게 줄어 확장이 필요하다”면서 “마을과 마을을 이어 지역 전체가 균형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도로를 확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또 “이해관계가 얽힌 일부 주민들의 반대로 시가 추진하는 전체적인 도로개설 사업에 차질이 생기는 것은 마을 발전과 웅상지역 발전을 위해서도 좋지 않다”고 말해 도로확장을 계획대로 진행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따라 시는 도시계획변경과 주민의견 수렴 등 관련 절차를 거쳐 도로개설 착공을 진행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