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박성진칼럼] 양산시민연합이 거듭나기 위해서는..
사회

[박성진칼럼] 양산시민연합이 거듭나기 위해서는

양산시민신문 기자 입력 2008/01/15 00:00 수정 2008.01.15 00:00

2006년 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의 후보 공천과정에 대한 반발로 결성되어 당시 오근섭 시장의 무소속 출마와 당선에 결정적인 이바지를 했던 양산시민연합이 중요한 거취의 기로에 섰다. 박정수 회장을 비롯한 공동대표들의 사임소식이 전해지면서 해체냐 존속이냐를 두고 내부 진통을 겪고 있는 것이다.

잠시 2006년 선거당시를 돌이켜 보면, 그 해 초까지만 해도 2004년 시장 보궐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낙승을 거둔 오 시장이 공천을 받기만 하면 당선은 떼놓은 당상이라는 분위기가 압도적이었는데 예상치 못한 ‘서화 로비 사건’이 발생하면서 사태가 겉잡을 수 없이 소용돌이치게 됐다.

이어서 오 시장의 탈당 선언으로 무주공산이 된 한나라당은 지역인사들의 거센 반대에도 불구하고 윤장우 후보를 공천하면서 거대한 반대운동에 직면하고 만다.

한나라당의 공천과정에 불만을 가진 지역 인사들은 박정수 씨를 중심으로 사회단체를 규합해 양산시민연합이라는 정치세력을 등장시켰다.

시민연합은 김양수 의원 본인도 지역출신이 아니면서 시장 후보마저 지역출신 인사를 배제하고 낙하산 공천을 하는 것은 지역 정서를 무시한 처사라는 점을 내세워 시민사회를 결속해 반 김양수 운동을 표면화했다.

이 과정에서 양측은 모두 넘지 말아야 할 선을 넘어버렸고 고소, 고발이 난무하는 이전투구의 난타전을 치른 끝에 시민연합은 그들이 시민 후보로 내세운 오근섭 시장의 당선이라는 승리를 이루어 냈다.

하지만 그것은 상처로 가득한 승리가 됐고, 그로 인한 지역사회의 반목이 지속돼 급기야는 시민연합 수뇌부 인사들에게 선거법 위반 사법처리라는 씻지 못할 멍에를 안겨 주었다.

다시 말하면 양산시민연합을 이끌어 온 사람들에게는 반 김양수, 무소속 오 시장 당선이라는 정치적 목표를 이루었지만 개인적으로는 선거법 위반으로 인한 불명예 전과를 하나씩 떠안게 된 것이다. 따라서 선거가 끝난 후에도 한동안 서로 화해하지 못하고 눈홀김을 계속해 온 것도 충분히 공감이 가는 사항이다.

지난해 3월 김양수 의원이 시민연합 사무실을 찾아 오 시장과 손을 잡고 화해의 모습을 연출하면서 표면적으로는 대립이 끝나게 됐지만 당시의 앙금이 완전히 풀렸다고 보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창립한지 1년 반이 지난 지금, 양산시민연합이 해체냐 존속이냐를 놓고 고민에 빠져 있는 것은 첫째, 시민연합의 태생적 한계인 정치단체로서의 영속성이 보장되느냐 하는 것이요, 둘째는 시민단체로서의 역할 정립이 가능한가 하는 점이다.

많은 뜻있는 인사들은 시민연합이 당시 지방선거에서 오 시장의 당선이라는 정치적 목적을 달성했을 때 과감히 깃발을 내렸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지역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정당 공천에 대해 시민사회의 반발을 조직화하여 선거로서 대항하고 당에 패배를 안겨 주었다면 소기의 목적을 다한 것이기 때문이다.

 때문에 선거 이후 각종 행사에서 전승군으로서 환호를 즐기는 사이 그들조차 자신의 영리를 위해 조직을 활용하는 것 아니냐는 오해를 받기도 하고 시민화합에 역행할 수도 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많은 시민들은 시민연합의 발전적 해체를 기대했고 그렇지 않을 때는 순수한 시민단체로 전환해서 지자체의 전횡과 오류를 견제하는 역할을 맡아 주기를 기대했었다. 이에 부응해 지난해 6월 시민연합도 일체의 정치활동을 종료하고 시민단체 활동에 전념하겠다고 선언했지만 기대만큼 변화된 모습을 보여주지는 못하고 있다.

우리는 양산시민연합이 지난 지방선거에서 보여준 조직력과 결속력을 나름대로 평가한다. 선거법 위반이라는 실정법 시비와 지역주의 고수라는 비판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거대 정당을 상대로 시민 정서를 무시한 일방적 공천은 안된다는 교훈을 제공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것으로 됐다. 논리적 목표가 상실되었다면 즉각 조직을 해산하고 지역사회로 돌아가야 한다. 당시에 결성된 말단 조직을 해산시키기 아깝다면 보다 발전된 시민단체로서의 조직으로 전환하고 새로운 목표 설정과 함께 완전한 탈바꿈을 하지 않으면 안된다.

양지의 밝은 면을 좇아 다니는 해바라기처럼 조직을 운용해서는 시민단체로 인정받을 수 없다. 시민연합은 뼈를 깎는 아픔으로 기득권을 모두 포기하고 시민의 권익신장을 위해 헌신하는 시민단체로서의 험난한 여정을 각오하지 않는다면 이 참에 간판을 내리는 것이 옳다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