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분을 제한한 식습관은 가장 중요한 원칙으로 평상시 염분섭취량을 반 이상 줄여야 된다. 흡연시에는 혈관을 수축시키고 니콘틴에 의한 혈관손상으로 흡연후 30분간 10mmHg의 혈압상승이 지속된다. 또 알콜 섭취는 맥주 2캔, 소주 2잔, 포도주 2잔 이내로 절주해야 됩니다. 소주 1/3병 음주시 혈압은 5mmHg 상승한다. 규칙적인 운동시 혈압은 4~8mmHg 감소된다. 걷기, 수영 등이 적당하고 무거운 물건 들기 등은 피하는 것이 좋다. 옆사람과 이야기할 정도나 약간 숨이 찰 정도의 속보로 매일 30~45분 걷기가 가장 무난하다.약을 먹으면 평생 먹어야 되기 때문에 최대한 안 먹고 기다리는 경우가 가끔 있다. 이렇게 치료가 늦을수록 당장 보이지 않지만 혈관에 문제가 서서히 쌓여 가기 때문에 ‘침묵의 살인자’라고 하기도 한다 고혈압의 위험요소(나이, 유전)가 있는 경우 식생활개선과 잦은 혈압 검사로, 고혈압 전단계(120/80~139/89mmHg) 에서는 식생활개선으로, 고혈압(140/90mmHg이상) 에서는 식생활개선과 반드시 약물치료를 병행하여, 뇌졸중(중풍), 협심증등의 합병증을 예방함으로써 건강한 삶을 살수 있다.고혈압의 부적절한 관리는 치명적이든 아니면 휴유증으로 평생 장애를 안고 살게 만든다.
반드시 철저한 관리로 예방해야만 한다. 양산시 보건소
산부인과전문의 강병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