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갈팡질팡 경찰서 이전
애꿎은 혈세만 낭비..
사회

갈팡질팡 경찰서 이전
애꿎은 혈세만 낭비

양산시민신문 기자 입력 2008/01/22 00:00 수정 2008.01.22 00:00

시와 경찰서간의 의사소통 부족이 결국 시민의 혈세를 날리는 결과를 낳게 됐다.<관련기사 214호, 2008년 1월 8일자 보도>

시는 지난해 8월 경찰서의 요청에 따라 신기동 공단사거리 일대 1만4천971㎡에 대해 공공청사 시설(경찰서) 결정을 위한 용역에 착수했다. 하지만 지난달 경찰의 요청에 따라 재정경제부가 신도시 물금읍 신주마을 인근 1만㎡를 81억원에 토지공사로부터 매입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이 부지는 경찰서가 숙원사업인 경찰서 이전을 위해 부지 매입을 수차례 중앙부처에 요청한 결과 지난해 11월 토공이 단독주택용지로 지정된 것을 공용청사용지로 변경하고 재경부와 매매 계약을 체결한 것이다.

하지만 정작 다른 곳에 시설 결정 용역을 추진 중이었던 시는 이 같은 사실을 파악하지 못하고 지난 3일 도시계획시설 결정에 따른 주민 공람공고 절차에 들어간 상태였다. 시는 본지의 취재로 신도시 일대에 경찰서가 부지 확보에 들어갔다는 사실을 확인하자 부랴부랴 사실관계를 파악하기에 이르렀다. 시는 공람공고 기간을 마친 뒤 2월말까지 경남도 도시계획심의를 받아 경찰서 부지로 최종확정하겠다는 계획이었다.

하지만 사실상 경찰서 부지가 신도시 지역 물금읍 옛 신주마을 인근으로 정해지자 시는 용역을 중단하고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공람공고까지 들어간 도시계획시설 결정 절차가 무산된 것이다. 용역을 위해 확보된 예산 1억원 가운데 수천만원의 혈세가 무용지물이 된 셈이다.

시 관계자는 “현재 용역에 대한 과업을 중단할 것을 결정했다”며 “계약금에 대한 차액분 등은 다른 용역으로 변경하는 등 대책 마련을 위해 노력 중”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시민들의 주요 관심사인 경찰서 이전 문제를 놓고 경찰서와 시, 두 기관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없었다는 점, 지난해 11월 토공이 도시계획시설 변경을 위해 시와 협의를 거치고도 시 내부 관련부서간의 의사소통이 부족해 진행상황을 파악하지 못했다는 점은 비난을 면키 어렵다는 지적이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