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기업유치전략 '업그레이드' 필요..
사회

기업유치전략 '업그레이드' 필요

양산시민신문 기자 입력 2008/01/22 00:00 수정 2008.01.22 00:00
2020 도시계획 공업용지 14.449㎢ 반영, 건교부 승인 예정
추가 공업용지 확보 외에 기업유치 활성화 방안 마련이 관건

시가 기업유치와 관련 고질적인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온 공업용지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이와 함께 기업의 실질적인 혜택이 되는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시는 지난해 3월 '2020 양산시 도시계획 기본계획안'을 마련하고 주민공청회를 거치고 최근 경남도 도시계획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

기본계획안에 따르면 공업용지로 반영된 면적은 14.449㎢로 2016년 도시계획안에 반영됐던 11.568㎢보다 2.881㎢ 늘어나게 됐다.

주요 지역을 살펴보면 용당ㆍ매곡동 일원 0.821㎢, 소주ㆍ주남동 0.957㎢, 상북면 좌삼ㆍ내석리 일원 6.199㎢, 상북면 석계ㆍ대석리 일원 4.818㎢, 상북면 소토리ㆍ산막ㆍ호계동 일원 1.074㎢, 동면 가산리 일원 0.58㎢ 등이다.

이 가운데 최근 민간투자협약을 통해 법인 설립을 완료하고 4월께 보상에 들어가는 산막일반지방산업단지 계획이 오는 2011년 준공을 목표로 상북면 소토리ㆍ산막ㆍ호계동 일원에 추진 중이다.

산막산단은 전체 사업비 2천760억원 가운데 국비를 제외한 민간자본금 2천254억원의 10%인 225억원을 법인 설립을 위한 자본금으로 마련하고,이 가운데 20%인 45억원을 시가 출자할 계획이다.

나머지 자본금은 (주)태영건설 외 컨소시엄 민간업체들이 출자하게 된다. 산막산단 조성 계획이 가시화되면서 부족한 공업용지를 해소할 것이라는 기대를 한층 높이고 있다.

또한 용당동에 추진 중인 용당지방산업단지는 이 일대 43만6천㎡ 부지에 자동차 관련 부품산업을 중심으로 사업비 628억원을 들여 조성될 예정이다.

이 밖에 동면 가산리 일대에 토지공사가 타당성 용역을 진행 중인 가산첨단산업단지도 올해 계획 수립에 착수할 예정이다. 이처럼 공업용지 확보를 위한 시의 노력이 구체화되면서 지역 내 기업유치에도 청신호가 켜졌다.

하지만 계획에 착수한 산막산단이 오는 2011년 준공이 목표로 추진되고 있어 당분간 공업용지난 해소는 '시간'이 과제로 남게 됐다. 이처럼 기업유치에 필요한 물적 토대를 마련하는데 일정 성과를 거두고 있는 시의 입장으로서는 확보된 공업용지에 제대로 된 기업을 유치하는 일이 최대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양산에 등록된 기업체 수는 모두 1천371곳. 이 가운데 종업원수가 300명 이상인 대기업은 17곳이며, 50명 이하인 소기업은 1천206곳으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물론 종업원수가 기업 규모를 가늠하는 일반적 잣대로 생각할 수는 없지만 지역 내 기업 상당수가 부산, 울산 등 대기업의 하청업체라는 점에서 '양'보다 '질'을 생각하면서 지역경제의 체질을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난해 양산에서 부산 등지로 이전을 계획한 업체들의 사례를 살펴보면 이같은 사실이 더욱 명확해진다. 각자 분야에서 우량기업으로 평가받아 온 (주)디에스아이(대표 김진철)는 부산 해운대구 우동 센텀시티 지방산업단지로, (주)세동은 부산 기장군 장안산업단지로 이전할 계획을 밝힌바 있다.

이들 업체는 모두 양산보다 지가가 높은 곳으로 확장 이전을 계획하게 된 배경에 대해 '도시 브랜드'라는 설명을 곁들이고 있다. 해외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서 기업이 있는 도시의 브랜드 가치가 지가 보다 더 큰 장점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결국 양산은 지가가 부담이 되는 영세기업들이 잠시 성장을 위해 머무르다 재도약을 위해 떠나고 마는 '징검다리' 형태의 공업지역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배경이기도 하다.

해외 바이어들이 묵을 수 있는 제대로 된 숙박시설조차 없는 양산에서 해외를 상대로 기업활동을 펼치기 어렵다는 것이 이들 업체의 하소연이다. 공업용지 외에 도시환경 정비 등의 추가적인 기업 지원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이 양산에서 타 지역으로 이전을 계획해온 업체들의 한결같은 지적이다. 이밖에도 기업 설립에 필요한 각종 제도에서 보다 원활한 행정 지원 요구도 지역 상공인들의 단골 메뉴다.

시가 1차적으로 부족한 공업용지 확보를 위해 노력해온 만큼 계획된 산단 조성을 차질 없이 진행하는 한편 행정적으로 필요한 각종 지원책이 지금까지 시의 노력을 성과로 변화시키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