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도심에 위치한 4곳의 공단 가운데 3곳이 이전을 준비하고 있다. 지난해 시외버스터미널과 교육청이 신도시로 이전하고, 경찰서 이전도 가시화된데 이어 시민들의 출입이 잦은 공단 사무실 대부분이 옮겨갈 것으로 알려지면서 구도심 슬럼화가 점차 심화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공단은 본래 국가의 행정기관이면서도 행정의 능률화를 위해 별도로 독립법인체를 설립해 만든 기관을 말한다. 현재 4곳의 공단이 구도심에 위치해 있는데 이 가운데 국민연금관리공단, 한국산업안전공단, 근로복지공단이 올해 안으로 신도시로 이전한다는 계획이다. 국민연금관리공단은 중부동에 있는 양산역사 맞은 편 건물로 오는 6월초 이전할 예정이다. 한국산업안전공단과 근로복지공단은 현재 부산지방노동청 양산지청이 있는 동면 석산리로 오는 12월에 이전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시외버스터미널 이전으로 구도심 상권이 위축되었고, 교육청 이전과 함께 구도심 학교의 학생수 부족 문제가 대두되기도 했다. 이어 23년간 구도심을 지켜온 경찰서 이전이 가시화되면서 신도시와 구도심의 양극화가 가속화되기 시작했다. 이런 상황에서 이들 공단 사무실 이전이 가지는 의미는 전통적으로 양산의 행정 중심부였던 구도심의 마지막 남은 상징성마저 사라지는 것으로, 주민들의 허탈감이 심각한 수준에 이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특히 이들 공단을 이용하는 하루 평균 200명 내외 민원인들의 발걸음이 끊기게 되면 구도심 공동화(空洞化) 현상도 심화 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공단 관계자는 “노후화된 건물과 협소한 사무 공간, 부족한 주차시설 등으로 인해 직원 복지는 물론 민원인들에게 원활한 행정서비스를 펼치지 못하고 있어 이전을 결정하게 됐다”며 “구도심 활성화를 위한 뚜렷한 청사진 없이 신도시로 향하는 사무실 이전이나 민간 상권 이동을 막을 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