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회(의장 김일권)가 시가 마련한 '양산시 시설공단 설립 방안'에 대해 자체 타당성 조사를 벌이기로 해 눈길을 끌고 있다. 이미 일부 지역의 시설공단이 방만한 운영으로 잡음을 일으키고 있는 것과 관련 시의회는 앞으로 예측되는 운영적자와 효율적인 운영 방안 수립을 타당성 조사를 위한 용역 전부터 검토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의원별로 시설공단 설립 대상이 되는 주요 시설을 분담하고, 수익구조는 물론 인력운영과 공공서비스 향상 방안 등을 사전 검토키로 했다. 지난달 26일 집행부로부터 시설공단 설립을 위한 타당성 조사 용역 예산 승인을 요청받은 시의회는 이같은 사항을 결정하고, 시가 타당성 조사를 위한 용역에 필요한 과업지시서를 작성하는데 시의회의 입장을 반영한 뒤 사업을 추진해줄 것을 요청했다. 지난달 초 시는 산재되어 있는 공공시설물의 종합적 관리와 민간의 전문성과 창의성을 접목한 지방공기업을 설립, 경영 합리화를 통해 관리비용을 줄이고 서비스 질을 향상시켜 주민복리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시가 100% 자본금을 출자하는 시설공단 설립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시에 따르면 공단이 관리할 주요 대상은 종합운동장·실내체육관, 웅상문화체육센터, 문화예술회관, 웅상도서관, 노상·노외 공영주차장, 어곡지방산단 폐수종말처리장, 유산폐기물 매립장, 음식물류폐기물 공공처리시설, 수질정화공원, 자원회수시설, 양산지방산단 폐수종말처리장 등 11개 시설과 종량제봉투판매사업 1개 사업 등이다. 이날 시의회는 시가 밝힌 주요 시설에 대해 결산서 기준으로 지난해 수익구조를 분석한 자료를 내놓았다. 이 가운데 민간위탁으로 운영되는 공영주차장과 어곡지방산단 폐수종말처리장, 양산지방산단 폐수종말처리장과 공공위탁인 수질정화공원을 제외한 나머지 시설들은 모두 적자 운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의회는 담당 의원별로 시설에 대한 추가적인 수익구조 실태를 파악키로 한 것이다. 김일권 의장은 "시설공단 설립의 필요성은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지만 향후 운영과정에서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하는 차원에서 시의원들의 준비가 필요하다"며 "시설공단에 이관되는 시설의 정확한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타당성 용역 발주를 위한 과업지시서 작성에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한편 시는 공단 설립을 위한 타당성 용역을 이달 중으로 발주하고 시설공단 설립의 밑그림을 그리겠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