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낙동강 일대 물금, 동면, 원동면 지역 농가에서 재배한 감자밭과 당근밭에 피해를 입힌 뉴트리아가 봄 감자 파종에 맞춰 다시 출현해 농민들을 긴장시키고 있다. 특히 지난해 가을에는 감자와 당근은 물론 수확을 앞둔 벼 뿌리마저 먹어치워 날이 갈수록 그 피해가 커지고 있다는 것이 농민들의 주장이다. 외래종 큰 쥐의 일종인 뉴트리아는 모피재료와 식품 원료로 1990년대 초 일부 농가가 사육해왔으나 수익성이 낮아 사육을 포기하는 농가가 늘어나면서 방치돼 야생화됐다. 특히 낙동강 일대에는 버려진 뉴트리아가 정착하면서 낙동강과 접한 지자체는 뉴트리아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천적이 없는데다 번식력이 강해 해가 갈수록 개체 수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생태계 파괴는 물론 농작물 피해까지 입히고 있는 뉴트리아는 현재까지 정확한 개체 수와 분포 상황조차 파악되지 않아 대책 마련도 어려운 실정이다. 동면 호포마을 정재철 이장은 "겨울 동안 활동이 잠잠하던 뉴트리아가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자주 눈에 띄고 있다"며 "본격적인 농사철이 시작되면서 주민들 스스로 뉴트리아에 대한 경계심을 늦추지 않고 있지만 정부나 시 차원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또한 최근 국립환경연구원은 낙동강 일대 뉴트리아 서식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 조사에 착수했으나 구체적인 결과가 나오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25일 양산을 찾은 국립환경연구원 관계자는 "낙동강 일대에 뉴트리아가 빠르게 번식하고 있어 농작물 피해가 더욱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며 "관련 법규와 대책 마련을 위해 기초 조사에 착수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시 역시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뉴트리아가 유해조수로 등록되지 않아 법적 근거가 없어 피해 보상 기준을 마련하는 일도 쉽지 않는 상황이다. 시는 지난 2006년 <양산시 야생동물에 의한 피해보상금 지급에 관한 조례>를 마련하고 야생동물에 의한 농민들의 피해를 보조해왔다. 하지만 뉴트리아에 의한 피해 규모가 조례에서 규정한 피해 범위보다 아직 낮아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시는 뉴트리아를 야생동물에 의한 피해와 동일하게 보고 앞으로 피해 정도를 심사해 보상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을 세워두고 있다. 이 밖에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뉴트리아가 활동하는 시기에 맞춰 수렵전문가, 지역 주민, 공무원 등으로 포획단을 구성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지난해까지 뉴트리아에 의한 농민들의 피해가 보상 규정에 맞지 않아 보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올해부터 개체 수가 늘어나 피해 규모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우선 농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포획 허가를 받아 뉴트리아 퇴치에 앞장 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시와 이 지역 농민들은 지난해 자체 포획단을 운영, 뉴트리아 20여 마리를 잡은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