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시내버스 적자타령에 시민만 ‘봉’..
사회

시내버스 적자타령에 시민만 ‘봉’

양산시민신문 기자 입력 2008/03/25 00:00 수정 2008.03.25 00:00
경영정상화 위해 오지노선 폐지검토

양산선 개통으로 경영난을 겪어온 시내버스업체가 노사협상결렬로 오지노선 전체 폐지를 검토하고 있어 애꿎은 시민들만 불편해 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 24일 시내버스업체 (주)세원버스와 노동조합은 임금협상을 두고 가진 6차 협상에서도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협상을 결렬했다. 노조는 물가상승을 이유로 월 10만원의 임금인상과 상여금 20% 인상 등을 포함해 16% 인상안을 제시했다.

이에 사측은 양산선 개통 후 하루 평균 5천명의 승객이 줄어든 데다 유가상승까지 겹쳐 올해 들어 벌써 적자만 19억원에 달한다며 상여금 10% 인상을 포함해 급여 3.5%의 인상안을 내놓았지만 결렬된 것이다.

한편, 세원버스는 노사협상 과정에서 경영정상화를 위해선 연간 11억5천만원의 적자를 내고 있는 오지노선 폐지가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세원버스의 이 같은 결정은 구포행 시내버스 노선을 조정한 지 불과 2주 만에 이뤄진 것으로, 계속되는 노선조정과 감축에 이어 결국 오지노선 폐지까지 거론되자 시민들은 비난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김영근(동면, 52) 씨는 “불과 2주전에 종점을 단축하더니 이제 폐지냐”며 “대중교통이 수지타산에 맞지 않으면 멈추고 이익이 나면 운영하는 거냐”고 불만을 토했다.

이번 폐지대상에 포함된 노선은 물금~원동 구간 137번과 구포~언양 구간 63번, 대석~시외버스터미널 구간 113번을 비롯해, 내석~양산 구간 107번,  호포~물금 구간 38-1번, 화룡~구포 구간 24번 등 총 16개 노선이다.

시내버스업체는 버스운송이 공공서비스 영역이긴 하나 사기업이기 때문에 이윤을 추구할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또 오지노선을 유지하기 위해선 적자액을  자치단체가 보전해주는 준공영제 방식을 도입하는 것이 대안이라고  덧붙였다.

준공영제는 어려운 노선조정이 쉽고 안전운전으로 버스 서비스가 높아지나 자치단체의 재정지원 부담이 늘어난다. 양산시는 준공영제를 시행할 경우  현재 버스운송체계에서 6~70억원이 추가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시 관계자는 “대중교통은 시민의 발이기 때문에 오지노선 폐지는 절대 불가하다”며 “대신 버스업체의 운영적자를 일정정도 보존해주기 위해 추경에 오지노선 지원 용역예산을 반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