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양산시민신문 |
원동면 화제리 토교마을에 사는 진순란(53) 씨는 ‘야생화를 사랑하는 이장’으로 유명하다.
원동지역 유일한 여성 이장인 진 씨의 집에 들어서면 마당 가득 야생화를 비롯한 다양한 화초가 내뿜는 향긋한 풀내음으로 눈과 코가 마냥 즐거워진다.
10년이 넘게 화초와 행복한 동행을 했다는 진 씨는 현재 800종류가 넘는 화초를 집안에서 키우고 있다. 이 가운데 300종류가 야생화이며 20여종류의 난도 진 씨의 자랑거리다.
“이제는 진순란이라는 사람의 삶속에서 화초를 빼고는 도저히 생각할 수도 없어요. 화초가 가족처럼 느껴진다면 남들이 웃겠죠(웃음)”
진 씨에게 화초는 정다운 벗이요, 든든한 가족이며, 사랑스러운 자식과도 다름없다고 강조하며 남다른 야생화에 대한 애정을 강조한다. 그도 그럴것이 진 씨가 화초와 인연을 맺게 된 이유가 바로 마음의 치료를 받기 위해서였기 때문이다.
“10년 전 몸도 마음도 너무 힘이 들었어요. 여러 가지 환경들이 저를 현실에서 도피했으면 하는 위험한 마음까지 들게 만들었죠. 그 때 만났던 것이 바로 화초예요. 하나, 둘 화초를 사다 아침저녁으로 물을 주고, 잎을 닦고, 떡잎을 키우고, 화분갈이를 하다보면 그 시간만큼은 오로지 화초 생각만 하게 되는 거예요. ‘이게 찰떡궁합이라는 건가’라고 생각이 들 정도로 신기하리만큼 마음이 편안해 지는데, 그 때부터 화초에 빠지게 됐죠”
이후 진 씨는 이름 없는 야생화에까지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언제 어디를 가서든 그 곳에 있는 야생화를 가져다 직접 번식시키는 작업을 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에서 피고 지는 야생화만 해도 4천여종이나 된다고 하네요. 자연에서 자란 야성만 다음어지면 집에서 키우기가 다른 일반 화초보다도 쉬워요. 또 야생화 중에는 일년에 한 번만 꽃이 피는 것이 아니라, 일년내내 꽃이 피는 것들이 많아 두고두고 꽃을 즐길 수도 있어요”
하지만 진 씨는 자신은 야생화나 화초의 전문가는 아니라고 고개를 저었다.
“간혹 사람들이 ‘이 야생화의 이름은 무엇이냐’, ‘어느 시기에 분갈이를 해야하나’, ‘거름은 몇 개월에 한 번씩 줘야하나’ 등의 질문을 할 때가 있어요. 하지만 저는 솔직히 그런 교과서적인 잣대를 가지고 화초를 키우는 것은 아니에요. 그저 10년을 함께 하다 보니 키우는 방법을 스스로 터득하게 된거죠”
진 씨는 야생화의 이름을 모른다고 해서 그 꽃이 덜 아름다운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
‘겨울에 아름다운 꽃이 피는 야생화’라는 사실만 알고 있으면 그것만으로 사랑하기에 충분하다고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