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김순아 / 시인 한국문인협회양산지부 외원 | ||
ⓒ 양산시민신문 |
옹이 하나 아무도 모르게 빠져나가고
아이가 물끄러미 밖을 내다본다
그 구멍에서 파꽃이 피었다 지고
분꽃이 열렸다 닫힌다
쪼그리고 앉아 늙은 땜쟁이가
때워도 새는 양은냄비 솥단지를 손질하고
겨울의 궤도에 든 뻥튀기가
등이 시린 이들 사이로 행성처럼 돈다
꿈이 부풀기를 기다리며
코로 쭉 숨을 들이키는 이들
홀쭉한 자신의 위장을 닮은 자루를 들고 서 있다
이승의 끝모서리에 이를 때마다 나는
아이의 그 크고 슬픈 눈과 마주친다
나는 아픈 기억이 빠져나간 그 구멍으로
저켠 길이 굽어드는 곳까지 내다본다
누가 잠자리에 들 듯 목관에 들어가 눕는다
뚜껑이 닫히고 어둠이 쿵 쿵 못질하는 소리
문득 옹이 하나 내 가슴에서 빠져나가고
세상 한 곳이 환히 보인다
------------------------------------
이윤훈 시인
경기도 평택 출생. 아주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졸업.
2002년 조선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
시집-『나를 사랑한다, 하지 마라』, 천년의 시작, 2002.
사람은 누구나 가슴 속에 깊은 상처의 옹이가 있습니다.
사랑의 옹이, 슬픔의 옹이 등 우리 삶에 셀 수 없을 정도의 다양한 옹이가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그 옹이는 세월을 살아가는 동안 우리를 더욱 강하게 만드는가 하면, 때로는 슬픔의 수렁으로 밀어 넣어 가슴에 박힌 옹이가 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옹이를 파내 잉걸불로 환하게 밝히는 날은 그 어떤 불보다 아름답게 타고 그 불빛은 멀리 가며 오래오래 타오릅니다. 이 시는 옹이 하나가 빠져나간 구멍으로 아이가 보는 세상을 그려내고 있습니다. 소외된 삶에 관한 편린들이, 나이 드신 분들이 참 좋아할 소재로 되어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