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시한줄의 노트] 가난하다..
사회

[시한줄의 노트] 가난하다

양산시민신문 기자 260호 입력 2008/12/16 14:31 수정 2008.12.16 02:35

 
↑↑ 김순아 / 시인
한국문인협회양산지부 외원
ⓒ 양산시민신문 
이른 새벽에 양말부터 찾아 신는 발은 가난하다
당신과 이별한 다음날, 고구마를 삶아 먹던
허기는 가난하다
고구마를 찌르던 젓가락은 가난하다
고구마를 제 몸 안으로 삼키던 창자는 가난하다
사랑한다면서 손이 어여쁜 여인은 가난하다
시간이 없어서 밤낮 고단한 사람은 가난하다
가난해서 이별하는 사람은 가난하다
가난 때문에 가난해진 사람은 가난하다
가난함으로 인해 전혀 가난하지 않게 된 사람은 가난하다
낙엽진 단풍나무에게서 앙상한 가지를 기억하는
눈은 가난하다
가난하다고 말하는 이 엄살은 가난하다
가난보다 더 빈곤하다



가난은 외롭고 쓸쓸한 것일까요.

<가난하다>라는 이 시를 읽으면서 저물 무렵 마지막 햇살을 보는 듯한 느낌입니다. 그래서 이 시의 가난은 궁핍이라기보다는 누구에나 적용되는 감정적인 것 같습니다. 그리하여 가난은 고구마를 삶아 먹는 것보다 그 이별의 <허기>에 더 무게가 있고, <앙상한 가지>를 들여다보는 시선에 더 쓸쓸함이 배여 있는 거겠지요. 사실 마음이든 삶이든 가난의 언저리에 있을 때 詩가 잘 보입니다.

누가 그랬던가요, 세상살이에 서툴고 가난에 익숙하라고요.


조하혜 시인

1972년 출생. 1994년 '여름별', 夏彗란 이름으로 『현대시사상』에 시 등단했으며 첫 시집 『도넛, 비어있음으로 존재한다』(천년의 시작, 2003) 이 있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