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경찰서와 시에 따르면 현재 양산지역 주택가, 도로변, 주차장, 공원, 학교 앞 등에 설치된 방범용 CCTV는 모두 27곳에 87대. 지난 2005년부터 설치하기 시작한 방범용 CCTV는 2005~2006년 8곳 22개, 2007~2008 19곳 65대다. 이에 올해 1억6천만원의 예산을 들여 8곳에 16대를 추가로 설치한다.
또 올해 행정안전부의 ‘어린이보호를 위한 CCTV 설치 확대 사업’에 경남지역 2개 시·군을 선정하는데 있어 양산시가 유력해 짐으로써, 이르면 3월께 국비 3억5천만원, 시비 3억5천만원 모두 7억원의 예산을 확보, 어린이보호구역 내 25~30대의 방범용 CCTV가 추가 설치될 예정이다.
경찰서와 시는 그동안 주민의 인권침해 등으로 방범용 CCTV 설치에 신중함을 보여왔던 것이 사실. 하지만 강호순의 범행 후 시민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어 설치 확대를 추진키로 했다.
경찰서 관계자는 “비록 사생활 침해 등 인권과 관련된 문제 제기를 모른체 할 수는 없지만, 현재로서는 CCTV가 범죄 예방을 위한 ‘필요악’이라는 데 주민들의 공감대가 형성된 것 같다”며 “양산지역에서도 방범용 CCTV로 범인을 검거한 사례가 있다”고 말했다.
실제 지난해 5월 주유소 현금을 강취하고 목격자까지 폭행한뒤 차량으로 도주했던 범인을 도로변 방범용 CCTV로 차량번호를 확인, 검거했다. 또 지난 3월에는 주택가에서 차량을 파손하고 도주했던 2.5톤 대형트럭을 주택가 방범용 CCTV로 붙잡기도 했다.
한편 양산지역 내 설치된 방범용 CCTV는 41만 화소 이상에 저장용량 30일 이상으로 사물을 판독해 수사자료에 활용할 수 있는 성능을 갖췄다. 하지만 확대 기능이 없어 원거리 사물판독이 힘들고, 회전이 안돼 사각지대가 생길 수밖에 없다. 이를 위해 경찰서는 1개 방향에 근거리, 원거리용 카메라 2대를 설치하는가 하면, 우범지역으로 분류되는 사거리에는 각 방향으로 카메라 4대를 설치하는 등의 방법을 시행하고 있다.
경찰서 관계자는 “현재 서창동 지역에 100만화소의 고화질 메가픽셀 CCTV를 시범적으로 설치하는 등 CCTV가 수사에 적극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다”며 “방범용 CCTV 설치가 수사에 도움이 되는 만큼 주민들의 관심과 이해가 필요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