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양산시민신문 |
전문의/병원장 이승하
나이가 들어가면서 머리가 하얗게 세고, 얼굴에 주름살이 생기는 변화가 바로 퇴행성 변화이다. 이러한 퇴행성 변화가 관절 연골이 갈라지거나 닳아 없어지면서 엷은 조각으로 벗겨지는 등 주로 체중을 많이 받는 관절, 즉 무릎 관절 등에 발생하게 되면서 관절염이 생긴다.
노인 관절통의 가장 흔한 원인이며 가장 흔히 발생되는 것은 슬관절에 발생하는 퇴행성 슬관절염이다. 무릎에서 서걱 서걱하는 마찰음이 들리기도 하고 동통을 동반하며 주로 다리가 안쪽으로 휘어지는 변형이 올 수 있다. 무릎 관절이 붓기도 하고 계단 오르내리기도 힘들어지고 심한 경우 보행 장애가 올 수도 있다.
현재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연령, 유전적 성향, 비만, 관절의 모양, 호르몬 등 한 가지 원인이 아니라 다양한 원인에 의해 병의 심한 정도와 증상이 나타나는 시기가 환자마다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
치료 목적은 환자에게 질환 특성을 이해하게 해 정신적인 안정을 주고, 관절 통증을 줄이며 관절 움직임을 유지시켜 변형을 방지하려는 데 있다.
치료 방법은 크게 보존적인 치료(약물 치료, 물리치료, 관절 내 주사 치료)와 수술적 치료(관절 내시경 수술, 절골술, 연골 세포 이식술, 인공 관절 전치환술)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활동이나 일하는 중 짧지만 자주 쉬도록 하는 것이 이따금씩 오랫동안 쉬는 것보다 효과적이다. 즉 적당한 휴식과 운동을 균형 있게 하는 것이 증상을 호전시키는 데 중요하다.
관절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 맞는 신발, 지팡이, 목발, 보행기 등의 사용이 필요하다. 또한 비만이 주된 요인이므로 체중을 줄여야 한다. 평균 신장의 여자가 체중을 5kg 감소시키면 퇴행성 슬관절염 증상이 나타나는 빈도를 50% 감소시킬 수 있다.
좋은 운동 방법으로는 보행, 자전거 타기, 수영 등의 유산소 운동이며, 이 중 수영은 부력으로 체중 부하가 감소되므로 관절에 가장 좋은 운동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대퇴사두근 강화운동은 관절 통증을 감소시키고 기능을 회복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중요한 운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