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사회

기대 반 걱정 반 낙동강 정비사업
원동 용당 딸기농가 '우왕좌왕'

엄아현 기자 coffeehof@ysnews.co.kr 277호 입력 2009/04/21 18:49 수정 2009.04.21 06:52
내달 지구포함 여부 결정, 시 지원 이미 끊겨

임대자 보상문제 둘러싼 갈등야기 등 뒤숭숭

정부의 4대강 살리기 일환인 낙동강하천정비사업 대상 지구에 원동 용당리가 거론되고 있지만, 확실한 정부계획이 밝혀지지 않아 시간이 지날수록 일대 딸기농가들이 보상 및 대책에 대해 우왕좌왕하고 있다.
 
원동 용당리는 지역 특산물인 원동딸기 생산지로 현재 60만㎡ 규모 90여 가구가 딸기농사를 짓고 있다. 부산지방국토관리청에 따르면 낙동강하천정비사업에 용당리 일대를 후보지구로 선정 후 지난해 12월 타당성 조사를 위한 실시설계에 착수, 이르면 5월 중에 결과가 나온다고 밝혔다.
 
따라서 국토관리청의 공식적인 발표가 있기 전에는 아직 대상 지구 포함여부는 미지수인 셈이다.
 
하지만 국토관리청이 하천농지를 친수공간으로 정비하는 것이 4대강 살리기 사업의 기본방향임을 이미 밝혀 낙동강 하천 일대의 용당리 농지가 포함되는 것은 기정사실처럼 알려지고 있다. 또 용당리 일대에 시의 하우스 시설 지원사업이 이미 중단돼 이 같은 소문을 뒷받침하고 있다.
 
당곡마을 농민은 "우리 마을은 물론 중리마을, 신곡마을 사람들까지 모두 보상문제로 인해 기대 반 걱정 반으로 일손이 도통 잡히지 않고 있다"며 "우선 용당리가 포함된다면 어디까지 선을 그을지가 가장 큰 관심사인데, 누구 하나 속 시원히 대답해 주지 않으니 답답할 뿐"이라고 전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보상을 둘러싸고 농지 소유주와 실제 경작자 간 마찰도 발생하고 있다. 딸기농가의 60% 이상이 농지를 빌려 농사를 짓고 있는 임대경작자로 일부 농지 소유주가 계약해지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15년간 농사를 지어온 농민은 "차후에 있을 영농보상금 때문에 정부발표가 있기 전에 임대경작자를 내보내려 하고 있다"며 "임대농지를 내놓을 경우 갖가지 농기계 구입비 등 부채를 갚을 일이 막막해 잠도 안온다"고 말했다.
 
이 뿐 아니라 오랜 역사를 자랑하며 원동의 대표 특산물로 자리매김해 온 원동딸기가 사라진다는 사실에 안타까움을 토로하는 농민들도 많았다.
 
한 농민은 "저녁마다 삼삼오오 모여 이 문제에 대해 이야기를 하는데, 다수의 딸기농가들이 원동을 떠나려 하고 있다"며 "원동은 용당뜰을 벗어나서는 부지와 환경면에서 딸기농사를 지을만한 여건이 되지 않는다며 밀양 등 타지역으로 마을사람들이 뿔뿔이 흩어질 것으로 예상돼, 이제 원동딸기는 없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솔직한 심정을 털어놨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