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물금 지하차도는 '그림의 떡'?..
사회

물금 지하차도는 '그림의 떡'?

엄아현 기자 coffeehof@ysnews.co.kr 입력 2009/07/07 12:33 수정 2009.07.07 06:06
사업 준공했지만 관리 주체 없어 개통 지연


주민 "시ㆍ도ㆍ토공 간 책임 떠넘기기" 비난



↑↑ 최근 물금신도시 지역 내 토공이 지하차도 개설 공사를 마무리했지만 관리주체를 놓고 관계기관들의 책임 떠넘기기로 개통이 지연돼 시민들의 불편만 가중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 양산시민신문
양산소방서 앞 지하차도가 준공은 했지만 언제 개통할 수 있을지 미지수다.

관련 기관들이 지하차도 관리권을 놓고 서로 다른 입장을 보이며 개통을 지연시키고 있어 '책임 떠넘기기'가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양산물금지구 택지개발사업 지하차도 5호선'은 양산신도시와 물금지역의 원활한 교통소통을 위한 것으로, 소방서 앞 도로 635m 길이로 지난 2006년 9월 착공해 지난 6월 중순 마무리됐다. 당초 지난해 12월 준공 목표였지만 시공사 법정관리, 파일공사 지연, 신호등 설치 관련 민원 등으로 사업 준공이 다소 연기됐다. 

하지만 이미 준공된 지하차도의 개통 시기를 알 수 없어 자칫 '그림의 떡'이 될 수도 있는 상황. 시행사인 토지공사와 양산시, 경남도 등 관련 기관들이 '유지ㆍ관리 주체가 누구인가'를 놓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기 때문이다.

토지공사는 지하차도 사업 준공 전 모든 시설물에 대한 전기수전 신청을 하기 위해 양산시와 경남도에 협조요청을 했다. 하지만 양산시는 "지하차도 5호선은 지방도 1022호선 구간으로 동지역을 제외한 지자체 지방도의 유지ㆍ관리권은 도로관리청인 경남도에 있다"고 답한 반면, 경남도는 "경남도 조례법상 지방도의 가로등, 지하차도에 대한 관리 책임을 이미 시ㆍ군에 위임했기 때문에 양산시가 전기수전 신청을 비롯한 인수인계를 받는 것이 맞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토지공사는 지난 5월 토지공사 명의로 한전에 전기수전 신청을 했지만,사업 준공된 시점에서 양산시와 경남도가 유지ㆍ관리권을 위임 받지 않는다면 지하차도를 개통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토지공사는 "사업 준공 60일전 모든 시설물에 대해 합동점검반을 편성해 시설점검 뒤 추가 시공에 대한 부분을 논의해야 하는데, 현재 이런 절차가 무시된 채 사업 준공 후 유지ㆍ관리 책임도 토공이 떠안고 있는 실정"이라며 난색을 표시하고 있다.

문제는 관련 기관들의 신경전으로 인해 자칫 신도시 2-2단계 인수인계 절차에 착수하게 되는 올해 말까지 지하차도 개통이 미뤄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때문에 지하차도 공사로 인해 그동안 분진, 교통체증 등으로 피해를 입어왔던 인근 주민들의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박아무개(범어, 43) 씨는 "원활한 교통소통을 위해 조성되는 만큼 그동안의 불편을 감수해 왔는데, 전기료 하나 낼 기관이 없어 개통이 차일피일 미뤄진다는 사실이 황당하기까지 하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