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추진하는 '교통체계 선진화 모델도시사업' 시범도시 유치를 위해 시와 경찰서가 함께 팔을 걷고 나섰다.
부ㆍ울ㆍ경을 잇는 사통팔달 요지에 신도시 조성이 한창인 양산지역이 교통체계 선진화 모델도시로는 최적이라는 것.
교통체계 선진화 모델도시사업은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와 국토해양부 등 유관기관이 합동으로 추진하는 사업으로 인구수 20~80만 도시 가운데 사업공모를 거쳐 5곳을 선정, 신호체계개선 및 도로개선사업 과제 등을 2년간 시행해 전국 확대시행 시 모델로 삼게 된다.
이를 위해 모두 420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며 정부는 이달 중 세부 사업시행 방안을 확정하고 이르면 9월 사업계획 공모를 거쳐 11월께 최종사업 대상 지자체를 선정한다는 계획이다.
사업비는 도시규모에 따라 차등지급되며, 양산지역은 20~40만 도시에 해당돼 모델도시로 선정될 경우 모두 60억원이 지원될 예정으로 교통신호와 도로운영체계의 합리적 개선에 상당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교통체계 선진화를 위한 주요사업은 ▶비보호좌회전 확대 ▶신호순서 조정(직진→좌회전) ▶우회전 제한표지 설치 ▶점멸신호 운영확대 ▶신호연동체계 구축 ▶교통섬 설치 ▶보행자 작동 신호기 설치 ▶자전거 전용 신호등 설치 ▶회전교차로 설치 ▶일방통행 확대 등이다.
양산경찰서 관계자는 "사고다발, 만성정체 등과 같은 시민들의 교통불편은 도로개설과 같은 대규모 토목사업뿐 아니라 교통신호 운영체계 개선으로 일부 해결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양산지역은 부산ㆍ울산을 잇는 국도7호선, 국도35호선을 비롯해 많은 지방도로가 있으며, 양산신도시 조성으로 신설도로가 개설되고 있는 시점이기에 정부의 교통운영 선진화 정책을 시범적으로 도입하기에 충분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와 더불어 광역교통정보사업의 일환인 첨단교통정보센터 설치ㆍ운영으로 교통체계 선진화 사업추진성과가 극대화 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 중에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소통과 안전 두 마리 토끼를 잡자는 것이 교통 운영체계 선진화 방안의 내용이니 만큼 시민들의 교통환경개선을 위해 경찰서와 공조해 사업유치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