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이종국 원광개발 대표 전 언론인 | ||
ⓒ 양산시민신문 |
양산의 경우 최근 10월 국회의원 재선거 출마후보자가 부산 통합을 슬며시 언급했다가 거센 역풍을 맞은 것 이외는 특별한 공론화 조짐이 없었다. 다만 행정체제개편이 대세라면 이제부터라도 양산시 차원의 통합논의가 공론화돼야한다고 본다.
우선 인접 자치단체와의 통합안을 살펴보자. 나의 판단으로는 양산을 기준으로 봤을 때 ▶부산 금정구·기장군 ▶부산 북구 ▶김해·밀양 ▶울산 울주군 등 모두 4개안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양산 인구(24만6천여명)에 부산 금정(25만4천여명), 기장군(7만8천여명)을 합치면 인구는 57만8천여명. 기장은 과거 1973년 양산에 편입됐다가 1995년 부산으로 편입된 전력이 있어 인연이 많다. 금정은 금정산을 사이에 두고 인접해 있으면서 경부고속도로와 국도 지방도와 연계돼 접근성이 뛰어난 편이다.
부산 북구(31만6천명)와 통합되면 인구는 56만2천여명이 된다. 북구(구포)는 구한말 양산에 편입됐다가 1906년 당시 양산에서 분리된 역사성이 있고 낙동강을 끼고 지리적 동질성이 강하다. 부산전철 2호선이 통과해 접근성도 좋다.
김해(48만6천여명), 밀양(11만여명)와 통할 경우 총인구는 83만5천여명인데 특히 김해, 양산은 급격한 개발지역이어서 6~7년 후면 인구 100만명을 넘어서게 된다. 밀양 하남에 국제공항 가능성도 있으며 땅이 넓고 교통도 좋아 앞으로 지역발전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양산이 김해에 흡수통합되는 형태여서 지역 역사성이 소멸되고 양산사람의 영향력이 줄어드는 단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울산 울주군(19만4천여명)과의 통합. 울주군은 양산 북쪽으로 인접해 있으나 울산광역시 자체 개발여력을 감안하면 양산과의 통합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봐야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대체적인 통합안을 살펴봤지만 어느 안이 가장 합리적일지의 판단은 전적으로 시민들의 몫일 것이다.
시민이 합의하고 지역개발에 도움이 되며 무엇보다도 후손들에게 부끄럽지 않은 행정구역 개편을 이루기 위해서는 지금부터라도 양산에게 유리한 쪽으로 논의가 진행돼야 할 것이다. 준비를 완벽하게 해둬야만 통합 물꼬가 터지더라도 우왕좌왕 하지 않고 성공적인 통합을 성사시킬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