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골격계질환은 통상적으로 신체 일부분을 과도하게 사용했거나 단순반복 작업, 부적절한 작업 자세 등으로 몸에 무리가 갔을 때 목과 허리, 등 근육, 인대 등 조직이 손상돼 나타나는 건강장애를 말한다.
우리나라에서 최근 3년간 산업재해 통계를 살펴보면 업무상 질환자 가운데 약 65%가 근골격계질환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근골격계질환의 발병자도 해마다 급증하는 추세다.
근골격계질환은 특히 쪼그리거나 무릎을 굽힌 자세로 하는 작업, 양손을 머리 위로 올리거나 팔꿈치를 어깨 위로 올리는 작업,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옮기는 작업, 진동 기계 기구를 사용하는 작업, 같은 동작만 반복하는 작업 등을 하는 사람의 경우 발병 위험이 크므로 주의해야 한다.
근골격계질환은 일단 발생하면 완치가 어렵기 때문에 예방이 중요하다.
일하면서 손목이나 허리 등에 통증이 느껴지는 등 불편함이 있다면 반드시 증상이 더욱 심해지기 전에 치료를 받아야 한다.
사업장에서는 근골격계질환자를 발생시킬 수 있는 원인이 있는지, 있다면 무엇인지 조사하여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평소 작업도구나 설비 등을 일하기 쉽도록 재배열하고, 오랜 시간 서서 일할 경우는 의자 또는 발판을 사용하도록 하고, 너무 똑같은 자세로 오래 있기보다는 자세를 자주 바꾸어 주고, 무거운 물건을 들 때에는 도움을 청하는 것이 좋다.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경남동부센터 055-371-7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