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지역 정치권에서 정부의 4대강 살리기 사업으로 삶의 터전을 잃게 될 농민들을 위해 대체농지를 마련하겠다는 대책이 나와 농민들의 기대를 모으고 있다.
지난 18일 박희태 국회의원과 시의회 박말태 의원(한나라당, 물금ㆍ원동), 부산지방국토관리청 장만석 청장이 참석한 면담자리에서 낙동강하천정비사업 대상지구에 포함된 원동면 용당리 농민이 인근 토지를 대체농지로 활용할 수 있도록 용당리 토지개간사업을 지원하는 방안이 심도있게 논의됐다.
정부는 하천유역에 위치한 농지가 하천오염의 주범이라며 대다수 농지를 4대강 사업대상지로 포함시켰고 농민들은 대대로 생계를 유지해 온 농지에서 하루 아침에 쫓겨나는 신세로 전락하게 됐다. 때문에 농민들은 대체농지가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농사 지을 땅을 빼앗기는 것은 곧 삶의 터전을 잃게 되는 일이라며 강력하게 반발해 왔다.
이에 정부는 경작농가에 대한 충분한 보상과 농지임대차를 알선하겠다는 대책을 내놓기는 했지만 농민들은 실질적인 생계보장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더욱이 원동면 용당리는 수십 년 째 수박과 딸기 등을 생산해 왔지만 농협 등을 통한 계통출하보다는 이른바 ‘밭떼기’로 불리는 개별출하를 해온 탓에 보상을 대비한 근거자료조차 마련하기 어려워 제대로 된 영농보상을 받기 힘든 지역이다. 게다가 농가의 60% 이상이 농지를 빌려 농사를 짓고 있는 임대경작자로 더는 농사지을 땅이 없어 타지역으로의 이주를 고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원동면 용당리 농민들에게 인근 지역에 대체농지를 마련해주자는 주장이 제기됐다.
4대강 사업에 포함되는 132만㎡ 규모의 용당지구는 절대 농경지로, 정비사업 과정에서 비옥한 흙이 버려지게 된다. 이같은 흙을 활용해 현재 습지지역인 신곡벌판, 신촌벌판과 당곡천 일대에 성토하는 방법으로 농사를 지을 수 있는 농경지를 만들자는 것. 어차피 버려지는 흙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도 농민들의 생계를 유지할 수 있는 1석2조의 대책이라는데 정치권의 중지가 모아졌다.
박말태 의원은 “강을 원래 모습으로 되돌리고 용수를 확보하자는 취지의 4대강 사업이기에 강을 살리기에 앞서 농민들을 먼저 살릴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주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며 “대체농지 마련은 물론 실제 농민들이 이같은 대체농지를 확보할 수 있는 수준의 적정한 토지 보상도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