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지역 빈 집이 범죄가 발생하거나 범죄인이 도피하는 장소로 악용되지 않도록 경찰서가 관리ㆍ치안 대책 마련에 나섰다.
양산경찰서(서장 손정근)는 지난 23일 시청, 한국토지주택공사 등 관계기관장을 한자리에 모은 가운데 양산지역 재개발 지역에 대한 범죄예방 대책회의를 가졌다.
부산 여중생 납치살해 사건 피의자 김길태가 재개발 지역에 은신하다 붙잡히고, 경찰이 지난 18일 전국 재개발 지역을 일제 수색해 수배자 24명을 검거하는 등 재개발ㆍ재건축 지역에 대한 치안을 강화할 필요성이 제기됐다. 또 동면 사송미니신도시, 산막산단 주출입로 등 개발공사가 지연되면서 양산 곳곳에서도 빈집 밀집지역이 발생해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는 판단의 조치다.<관련기사 322호, 2010년 3월 16일자>
이날 회의는 양산 유일의 재개발 지역인 동면 사송택지개발지구 내에서 김길태 사건과 같은 불미스런 사건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책 마련에 주력했다. 사송택지개발지구는 2005년 8월 택지개발 예정지구로 공고된 후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시행을 맡아 지난해 1월부터 보상이 시작, 현재 266세대 가운데 211세대가 보상이 완료돼 이주가 진행됐다. 하지만 미보상세대를 비롯해 모두 70세대가 그 곳에 여전히 살고 있어 이들을 범죄로부터 보호하고 공ㆍ폐가를 범죄장소로 이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안이 논의됐다.
우선 잔류주민 모두가 이주할 때까지 보행로에 보안등과 가로등을 추가 설치토록 했으며 출입구에 초소를 설치, 경비인력 6명이 교대 근무하도록 조치할 방침이다. 또 최근 개소한 동면파출소가 순찰을 강화하고 순찰이 어려운 곳에는 CCTV를 보상 설치할 계획이다. 뿐만 아니라 범죄자가 은둔할 수 없도록 석면이 없는 건물에 대해서는 지붕을 우선 철거토록 했다.
한편 양산지역 빈집은 동면 사송택지개발지구 외에도 산막산단 주출입로 빈집군락과 농촌 폐ㆍ공가를 포함해 모두 84세대가 더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