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의 자율성이 강화되면서 학교운영위원회가 많은 권한을 갖게 됐지만 운영위원의 인기는 점점 시들해지고 있다.
교육감 선출을 위한 법 개정 이후 학교운영위원을 하려는 학부모들이 눈에 띄게 줄어 일선학교에서는 학교운영위원 구성에 애를 먹고 있는 상황이다. 더욱이 지난해에는 지방선거를 앞두고 경력을 쌓으려고 선거 출마 희망자들이 학교운영위원회로 진입키도 했지만, 올해는 선거체제 돌입으로 지역인사들의 참여도 또 다시 시들해졌다.
양산교육청과 학교들에 따르면 양산지역 내 초ㆍ중ㆍ고교 57곳은 오는 31일까지 학교별 학생 수에 따라 최소 5명에서 최대 15명의 학교운영위원을 선출, 구성할 예정이다. 학부모위원과 교육위원은 21일까지, 지역위원은 이달 말까지 선출해야 하고 임기는 4월 1일부터 내년 3월 31일까지다.
이들 학교운영위원회는 학교헌장, 학칙의 제ㆍ개정, 예ㆍ결산, 교육과정 운영, 급식 등 학교 전반에 관한 사항을 자문하고 심의하는 역할을 맡는다. 특히 올해부터는 정부 정책에 따라 각급 학교의 자율화가 크게 진척되면서 일선 학교의 재량권이 대폭 강화돼 초빙교사제, 방과후학교 운영 업체 선정 등 학교운영위원들이 심의하고 자문해야 할 비중 있는 사항도 많아졌다.
그러나 2007년부터 교육감 직선제 등이 도입되면서 학교운영위원을 하려고 나서는 학부모들이 점점 줄어들어 학교마다 명맥을 잇기가 힘든 상황이다.
교육감 선출이 직선제로 바뀌기 전만 해도 학부모들이 학교운영위원 자리에 앞다퉈 후보자 등록을 마치거나 일부 교육위원 후보자와 일선 학교장들이 직접 학부모를 추천하는 등 학교운영위원 경쟁이 치열했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일선 학교들은 학부모 모시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선뜻 나서는 이가 없어 골머리를 앓고 있다.
실제 ㄱ초등학교는 학교운영위원을 새로 선출키가 어려워 기존의 학부모회 임원들을 운영위원으로 대거 영입해 겨우 인원을 채웠다고 전했다. 또 ㄴ초등학교 역시 학교운영위원은 뽑았지만 모두가 운영위원장을 맡지 않으려고 해 전체 구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토로했다.
한 학교 관계자는 “교육감 선거가 직선제로 바뀌기 전인 2006년까지는 일부 농촌지역 학교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학교가 몰려든 지원자로 경선을 치러 학교운영위원회를 선출할 정도로 경쟁이 치열했던 것과는 대조적”이라며 “학교운영위원회 할성화를 위한 특단의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