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양산시민신문 |
강서동 일대에 각종 병원에서 나오는 의료폐기물을 처리하는 의료폐기물 소각장이 들어설 움직임이 보이자 해당 주민들이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시와 주민들에 따르면 한 업체가 지난달 24일 교동 53-2번지 외 2필지 981㎡에 1일 30톤 규모의 의료폐기물 소각로 설치 허가신청을 낙동강유역환경청에 접수했다. 허가신청은 (주)C업체로 접수했지만 사실상 부산 D대의료원이 운영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소각장이 들어설 곳은 공단폐수종말처리장 인근지역으로 유산공단과 인접해 있으며 근린공원 조성사업이 한창인 춘추공원입구와도 800m 정도의 거리다. 뿐만 아니라 신기동 주공ㆍ한마음아파트와는 직선거리로 400m에 불과하고 양산여중ㆍ고교와 일동아파트와도 1.2km 거리로, 사유재산권 침해의 우려도 낳고 있다.
이에 강서동 주민들은 마을이장과 새마을지도자 등을 주축으로 하는 ‘의료폐기물소각장설치 반대대책위원회’를 즉각 구성, 설치반대 서명운동을 추진했다. 대책위는 지난 10일 낙동강유역환경청과 양산시, 양산시의회에 진정서를 제출했고 같은 날 주민 50여명이 낙동강유역환경청에 항의 방문키도 했다.
대책위 관계자는 “강서동은 이미 폐기물매립장과 폐수종말처리장 등 주민들이 기피하는 시설들이 들어서 있고 유산공단과 어곡공단과 인접해 주거환경에 상당한 피해를 입고 있다”며 “얼마 전 춘추공원 근린공원 조성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됐고, 구름다리와 양산천 분수대, 영대교 신설 등으로 겨우 주거환경이 나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는데, 의료폐기물 소각장 설치는 그야말로 청천벽력 같은 일”이라고 반발했다. 또 “전국에 있는 각종 병원에서 의료폐기물을 운반하기 때문에 운반차량이 양산지역 주요간선도로와 양산시내를 활보하고 다니게 된다”며 “강서동 주민만의 문제가 아닌 양산시민 전체 건강과 재산권과 결부되는 심각한 문제”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전국에 의료폐기물 배출량은 248톤인데 비해 소각장 15곳에서 처리할 수 있는 용량은 438톤으로 아직 43.3%의 여유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의료폐기물 소각장 설치가 당장 필요한 사업은 아니라고 판단된다”며 “더욱이 주민피해와 대기오염 등에 미치는 악영향이 예상되므로 절대 불가하다는 의견을 낙동강유역환경청에 제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해 12월 낙동강유역환경청은 호계동 886번지 일대에 1일 48톤 규모의 폐기물 처리시설을 설치하려는 모 폐기물처리업체의 폐기물중간처리업 허가 신청에 대해 양산시가 제기한 생활환경 피해 우려와 산막산단 배치 계획과 맞지 않는다는 이유가 타당해 부적합 결정을 내린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