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독서를 많이 하는 학생들은 앞으로 입학사정관을 통한 대학 진학 때 유리한 점수를 받게 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전국 16개 시ㆍ도 교육청별로 ‘독서교육 종합지원시스템’을 구축하고, 올해 2학기부터 본격 시행한다고 밝혔다.
독서교육 종합지원시스템은 학생이 책을 읽고 이를 독후 활동기록으로 남기면 담당교사가 확인해 학생생활기록부에 반영ㆍ기록하는 제도다. 이 제도는 2004년도 부산시교육청이 학생과 일반인의 독서 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전용 서버를 구축, 감상문 쓰기ㆍ동시 창작ㆍ인터뷰 등을 온라인에 기록하게 한데서 시작했으며, 2010년 부산ㆍ울산ㆍ경남의 대학입학전형에서 실제로 입학사정관의 평가 자료로 활용되기도 했다.
교과부는 전국 단위의 서버 구축을 마치고 이 자료를 당장 2011학년도 대입 전형부터 사용할 수 있게 했다. 따라서 내년 입시부터는 입학사정관들이 이 시스템을 통해 학생의 독서량을 가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는 입학사정관이 학생이 작성한 자기소개서를 보고 직접 면접을 통해 독서 여부를 파악해 왔다.
지난해 4월부터 양산전역 시행
‘강제 독서냐 효율적 지도냐’ 논란
하지만 독서인증제를 두고 교육현장에서는 찬반양론이 팽팽하다.
학교에서 선정한 인증도서를 읽은 뒤 평가를 받는 독서교육 프로그램이 오히려 학생들의 창의성과 자발성은 물론 장기적으로 독서문화를 해친다는 반대 입장과 교육적 측면에서 독서습관을 지도하는 효율적 방안으로 반드시 필요하다는 양론이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양산지역은 경남도교육청의 방침에 따라 지난해 4월부터 독서인증제를 실시했다. 인증방법은 필독도서 10권과 권장도서 20권 이상으로 구성된 인증도서를 선정하고, 해당 도서를 읽고 독후활동을 한 학생 모두에게 ‘독서인증서’를 주고 평가기록은 학교생활기록부에 하도록 했다.
이에 대해 한 교사는 “독서를 강제로 시키는 것은 오히려 책읽기에 대한 괴로운 경험만을 축적하는 것”이라며 “더욱이 아이들이 자기가 읽고 싶은 책을 마음대로 읽지 못하고 학교에서 혹은 교육청에서 정해준 책을 읽어야 한다는 발상 자체가 교육적이지 못하다”고 독서인증제를 비판했다.
반면 독서인증제 이후 아이들의 독서량이 월등하게 늘어났다고 주장하는 초등학교 한 교사는 “제도 시행 이전에는 도서관을 찾지 않았던 아이들도 경쟁적으로 도서관을 찾아 권장도서를 읽고 있다”며 “아이들이 점차 책을 접하는 횟수가 늘어나면서 자연히 독서습관을 형성해 나갈 수 있는 좋은 제도”라고 설명했다.
물레방아 독서상으로
독서인증제 단점 보완
독서인증제를 바라보는 시각 차이가 뚜렷한 가운데 오봉초등학교는 새로운 방식으로 독서인증제를 시행하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장점은 그대로 수용하고 단점은 보안해 오봉초만의 독서인증제를 개발한 것.
오봉초의 ‘물레방아 독서상’은 독서 결과에 대해 매월 초 시상을 하는 제도로, 학생들의 독서인증 기능은 물론 독서에 대한 동기유발로 올바른 독서습관을 형성해 주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독서인증제와 같이 권장도서를 따로 두지 않고 다양한 도서를 마음껏 읽을 수 있도록 제도를 보완했다.
오봉초 황가순 사서교사는 “권장도서를 학생 수만큼 대량으로 구매할 수 없기 때문에 몇 권의 책만을 권장한다면 오히려 학생들에게 책읽기보다는 책 확보가 더 큰 과제가 될 수 있다”며 “따라서 오봉초는 도서관에 권장도서 코너를 따로 마련해 두고 책장이 빌 때마다 새로운 책을 꽂아놓는 형태로 아이들이 항상 권장도서를 접할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