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덕계시가지는 점자블록 위에 볼라드를 설치해 시각장애인에겐 위협의 대상이 되고 있다. |
ⓒ 양산시민신문 |
“볼라드요? 안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하지만 오히려 불편할 때가 많아요”
볼라드는 도로변 차량 진입을 차단하고 보행자와 교통약자의 안전을 위해 차도와 인도 경계에 세운 말뚝이다. 그런데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만든 볼라드가 오히려 보행자에게 불편함을, 교통약자에게는 위협을 가하는 장애물로 전락했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볼라드 설치를 보행자의 통행에 걸림돌이 되지 않는 수준에서 선택적으로 설치하도록 하는 다소 모호한 기준을 두고 있다. 그나마 정부가 제시한 ‘보도설치 및 관리지침’에 따르면 볼라드는 높이 80cm~1m, 두께 10~20cm, 간격은 1.5m로 설치해야 하며 볼라드의 재질은 보행자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해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또한 볼라드 30cm 앞에는 시각장애인이 인식할 수 있도록 점자형 블록을 설치하도록 돼 있다.
그러나 주변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볼라드는 높이도 제각각, 모양도 제각각이다.
양주공원 뒤쪽 6.25참전기념비가 세워진 옆쪽으로는 높이 40cm 남짓의 화강암 볼라드가 촘촘하게 세워져 있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형 블록도 전혀 찾아볼 수 없다. 높이가 낮아 볼라드를 보지 못하고 길을 가다 부딪치면 부상으로 이어질 수도 있는 상황이다.
또한 E마트 입구에는 쇼핑카트 도난을 막기 위한 볼라드들이 보행자의 앞을 가로막고 있다.
평소 E마트를 자주 이용한다는 김아무개 씨는 “간격이 다소 좁아 마트를 오고 갈때마다 신경이 쓰인다”며 “가끔 유모차를 가지고 장을 보러오는 날이면 정해진 출입구 쪽으로만 나갈 수 있어서 상당히 불편하다”고 말했다.
덕계시가지 일대 볼라드는 더 심각한 수준이다. 좁은 인도에 볼라드까지 설치되어 길을 더욱 혼잡하게 만들고 있었다. 심지어 볼라드를 설치해야하는 횡단보도는 쏙 빼놓은 채 횡단보도 양 옆으로만 우두커니 서있는가 하면 점자블록 위에 볼라드를 설치해놓은 곳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일각에서는 덕계 5일장의 노점상 단속을 위해 마구잡이로 설치한 것이라는 불만의 목소리도 높다.
시 관계자는 “현재 교차로 지점과 인도와 도로 사이에 연석이 없는 경우 경계선 위주로 볼라드를 설치하고 있다”며 “현재 신도시지역이 규정에 맞지 않는 볼라드 난립이 심한 것으로 알고 있다. 현재 규정에 맞도록 안전하게 교체하고 있는 중”이라고 밝혔다.
↑↑ E마트 앞에는 쇼핑카트 도난방지를 위해 다소 좁은 간격으로 볼라드가 설치되어 있다. |
ⓒ 양산시민신문 |
![]() |
↑↑ 양주공원 뒤쪽 6.25참전 기념비 옆길로 정부 지침서보다 절반이나 낮은 높이의 화강암 볼라드가 설치되어 있다. |
ⓒ 양산시민신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