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양산을 밀양과 묶는 거점교육청 “안돼” ..
교육

양산을 밀양과 묶는 거점교육청 “안돼”

엄아현 기자 coffeehof@ysnews.co.kr 343호 입력 2010/08/17 09:32 수정 2010.08.17 09:32
성경호 교육의원 “접근성 힘들어 비효율적” 주장

최종개편안 밀양ㆍ김해 권역 확정… 양산은 단독



경남도교육청이 시설지원과 보건급식 업무를 권역별로 묶는 ‘거점교육청’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양산을 밀양과 한 권역으로 묶어 양산교육계의 반발을 샀다. 하지만 최종개편안에서 김해와 밀양이 묶이고 양산은 단독으로 결정돼 가슴을 쓸어 내렸다.

ⓒ 양산시민신문
  경남교육청의 ‘선진형 지역교육청 기능 및 조직개편 방안’의 일환인 거점교육청은 지난 4월 26일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열린 제2차 교육개혁대책회의에서 보고된 내용이다. 큰 틀에서 지역교육청 권한을 대폭 축소ㆍ조정할 방안이지만 초기에는 지역교육청별 상황에 따라 3가지 모형을 가동시키기로 했다.

첫 번째 기본모형은 지역교육청의 담임장학ㆍ학교평가ㆍ감사업무를 모두 폐지하는 것으로, 부산ㆍ울산 등 광역시에 적용된다. 두 번째는 감사ㆍ평가를 제외한 행정기능을 지역교육청에 존치시키는 모형으로 서울ㆍ경기에 위치한 대규모 지역교육청에 해당된다. 세 번째는 영세한 규모의 지역교육청 3~4개를 묶어 교육복지ㆍ특수교육ㆍ보건급식 등 기능별 거점으로 운영하는 것으로 시ㆍ군 단위 지역교육청에 적용한다는 것이다.
경남도교육청이 바로 이 세 번째 모형을 따르고 있다.

당초 도교육청이 개편안에 따르면 경남 18개 시ㆍ군 가운데 통합 창원시과 김해시를 제외한 나머지 16개 지역교육청의 시설관리과 보건급식 업무를 권역별로 묶는 거점교육청을 지정, 운영한다는 방침이었다.

당초 개편안은 창원과 김해는 단독으로 두고 ▶양산ㆍ밀양 ▶진주ㆍ산청 ▶거제ㆍ고성ㆍ통영 ▶사천ㆍ하동ㆍ남해 ▶창녕ㆍ함안ㆍ의령 ▶합천ㆍ함양ㆍ거창 등을 한 권역으로 묶어 모두 8개 권역으로 나눴다. 진주와 산청 권역은 진주교육청이, 사천ㆍ하동ㆍ남해는 사천교육청이 각각 거점교육청이 되는 식이다.

하지만 양산ㆍ밀양 권역은 시설관리는 양산을 보건급식은 밀양을 거점교육청으로 지정해 양산교육계의 반발을 샀다.

이에 대해 성경호 교육의원(양산ㆍ김해ㆍ진해)은 “거점교육청 나눠주기식은 안된다”며 “권역 내 지역규모와 지리적 접근성을 감안한다면 양산ㆍ밀양 권역을 묶는 것은 상당히 비효율적인 처사”라고 양산교육계 인사들과 함께 도교육청에 재검토를 요청해 왔다.

그 결과 최종개편안은 밀양과 김해가 한 권역으로 묶이고 양산이 단독 거점교육청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결정됐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