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진 도서관
도서관이 사라졌다
익숙했던 내 의자가 없어졌다
빌려온 책들의 반납 기일이 아직 한참이나 남았는데
고백컨대
책을 읽는 대신 나는
그 도서관의 책들을 한 장씩 씹어 먹었다
젖을 먹어야 할 때 그림 형제의 삽화를
초경이 시작될 무렵 데미안의 알을
머리에 피가 마르기 시작했을 때 사랑의 기술을
아무리 기다려도 피 다 마르지 않아
북회귀선의 금지된 선을, 위기의 여자를
자근자근 씹어 먹었다
그 낡은 도서관의 책들을
한 권씩 뽑아들 때마다
도서관의 갈빗대가 하나씩 뽑혀
조금씩 허물어지고 있다는 걸
그때는 몰랐다
책은 먹을수록 허기가 져 자꾸 먹어댔고
내가 뜯어 먹는 것이 피와 살덩이인줄
그땐 정말 몰랐다
개정판 사전도 베스트셀러도 없던
사라진 말들의 유적지
폐관시간도 없이 모든 게 무료였던
나의 파라다이스, 책만큼이나 많은 돌무더기
나의 찬란한 폐허, 낡은 도서관 내 어머니
내가 파먹은 그의 부장품들
아직도 입 속에서 우물거리고만 있는
이 경전들은 어쩌라고
사라진 도서관 한 채가 관 속에 누워 있다
* 강기원 시인
1958년 서울에서 출생.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1997년 《작가세계》 신인상에 〈요셉 보이스의 모자〉 외 4편의 시가 당선되어 등단. 시집으로 『고양이 힘줄로 만든 하프』(세계사, 2005)와 『바다로 가득 찬 책』(민음사, 2006)이 있음. 2006년 제25회 '김수영문학상' 수상.
--------------------------------------------------------------
![]() | ![]() |
↑↑ 김순아 시인 한국문인협회양산지부 회원 | |
ⓒ 양산시민신문 |
평생 책 읽는 습관을 어머니가 길러내듯, 우리의 어머니는 이미 도서관으로 살아 계신 겁니다.
언제든 펼쳐보면 내가 살아온 날들의 목록을 알 수 있으니, ‘책들을 한 장씩 씹어 먹’는 것 또한 어머니에게서 읽은 나의 삶인 거지요.
그러나 내가 지식을 쌓아갈수록 어머니는 늙어가고, 그러다 어느 날 문득 내가 어머니를 파먹고 있지는 않은가 하는 생각. 어머니의 말씀들, 당부들, 그 모든 말들이 내 입 안에서 페이지를 이룹니다.
그리고 나나 당신이나 이때쯤 누군가의 도서관이 되어간다는 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