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 내년부터 영유아 필수예방접종비의 50%를 지원키로 해 자녀를 둔 양산지역 엄마들이 상당히 반기고 있다.
시는 민간 병ㆍ의원에 지원하는 ‘필수예방접종 국가지원사업’을 확대, 내년 당초예산 3억400만원을 편성해 종전 30% 지원에서 50%로 상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필수예방접종 국가지원사업은 12세 미만 아동이 BCG(결핵), B형간염ㆍ수두ㆍ일본뇌염 등 8종의 필수예방접종을 할 때 민간 병ㆍ의원이 국가 지원을 받아 할인해 주는 사업이다. 필수예방접종은 본래 전염병예방법에 의거해 국가가 책임지고 수행해야 할 중요한 보건사업이지만, 그동안 민간병원은 배제된 채 접근성이 취약한 보건소를 중심으로만 시행돼 왔다. 이에 2006년 전염병예방법을 개정, 지난해 3월부터 참여를 원하는 민간 병ㆍ의원에게 접종비 30%만 지원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하지만 필수예방접종 1회당 비용은 종류별로 2~3만원선이고, 만 12세까지 모두 22회를 맞아야 하니 50~100만원에 이르러 서민들에게는 상당히 부담스러운게 사실. 때문에 영유아를 위한 필수예방접종비 지원 확대가 필요한 상황이었다.<본지 334호, 2010년 8월 24일자>
보건소 관계자는 “이번 접종비 지원의 확대로 양산지역 내 6만여명의 영유아 아동과 보호자가 접종 때마다 보건(지)소로 찾아가는 번거로움과 장시간 대기하는 불편을 해결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하지만 필수예방접종 지원사업은 영유아를 둔 가정의 시간적ㆍ경제적 부담을 덜어주는 중차대한 사업으로, 전액지원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심경숙 의원(민노, 양주ㆍ동면)은 지난 21일 제112회 정례회 시정질문을 통해 “아이 낳기 좋은 세상을 구호로만 외칠 게 아니라 육아부담을 줄여주는 실질적인 대책이 지자체 차원에서 마련돼야 한다”며 “실제 인근 김해시와 서울 강남구, 경기 부천시 원미ㆍ소사ㆍ오정구, 경기 광명시, 강화도 등 지자체 7곳에서 민간 병ㆍ의원 필수접종비용을 전액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덧붙여 “전액 지원시 예상되는 소요비용은 9억원 정도로 비용 대비 효용가치는 상당한 사업”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필수예방접종 국가지원사업에 참여하는 병ㆍ의원 확대도 시급한 과제라고 지적했다.
현재 양산지역에서 필수예방접종 할인 서비스에 참여한 병원은 전체의 20% 수준에 그치고 있다. 종합병원ㆍ병원ㆍ의원 등 양산지역에서 필수예방접종을 하는 의료기관은 모두 120곳으로 이 가운데 24곳만이 할인 서비스에 참여하고 있다.
때문에 올해 초부터 7월 말까지 필수예방접종 현황을 살펴보면 양산지역 접종 대상 6만915명 가운데 8천982명만이 인근 병ㆍ의원에서 접종을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심 의원은 “필수예방접종 지원사업 전체 예산이 모두 1억7천만원인데 7월까지 1천587만원만 쓰여 전체예산 가운데 고작 9%만 집행된 상황”이라며 “접근성이 좋은 소아과 등의 참여를 독려하고 시민들이 할인 받을 수 있는 병ㆍ의원에 대한 정보를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보건소가 보다 적극적으로 홍보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