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노동복지회관 재계약 ‘관심’..
사회

노동복지회관 재계약 ‘관심’

엄아현 기자 coffeehof@ysnews.co.kr 363호 입력 2011/01/11 09:19 수정 2011.01.11 09:18
시의회 “한국노총ㆍ민주노총 공동 활용 바람직”

한국노총 위탁계약 만료, 양 노총 엇갈린 의견



한국노총이 위탁운영 중인 노동복지회관의 활용 방안을 놓고 다양한 의견이 쏟아지고 있는 가운데 이달 말 한국노총과 시가 위탁 운영과 관련한 재계약을 추진하고 있어 결과가 주목된다.

지난 1991년 준공한 노동복지회관은 북정동 848-16번지에 부지 3천497㎡, 건물 2천61㎡, 지하1층ㆍ지상3층 규모로 노동복지회관 운영조례에 따라 한국노총에 무상으로 위탁운영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 1층에 위치한 공립어린이집이 이전계획을 세우면서 이 공간을 노동자를 위한 헬스장 등 편의시설로 활용하겠다는 방침이 마련되면서 관행적으로 위탁계약을 맺어오던 노동복지회관 운영 문제가 논란이 되고 있다. 

시의회는 노동복지회관 리모델링이 논의되자 한국노총이 사무실로 활용하고 있는 노동복지회관에 현재 종합운동장 내 사무실을 운영하고 있는 민주노총도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내면서 노동단체와 시의회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는 것이다.

시의회는 노동복지회관이 양산 노동자들이 함께 사용해야 하는 공공시설이라는 점에서 양 노총이 합의점을 찾아 공동으로 운영 또는 사용하는 것이 공공시설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생각이다. 또 민주노총이 종합운동장 내 사무실을 사용하면서 시 보조금으로 임대료를 지불하고 있어 예산 절감 효과도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한국노총측은 이러한 시의회의 입장에 대해 난색을 표하고 있다.

양 노총이 정치적 지향점이 다르고 활동계획 역시 차이가 나 같은 공간에서 활동하기가 거북하다는 것이 이유다. 또한 열악한 노조 상황에서 건물 임대 등의 부대수입을 통해 노동자를 위한 다양한 사업을 펼쳐야 하는데 민주노총이 입주할 경우 공간이 부족하다는 현실적인 이유도 강조하고 있다.

반면 민주노총측은 원칙적으로 노동복지회관을 함께 사용하는 일에 찬성하고 있지만 앞서 언급한 양 노총의 차이에 대해 일정 부담감을 느끼고 있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발상이라는 입장이다.

시의회 역시 이러한 입장차를 알고 있지만 노동복지회관이 특정 노동단체의 소유가 아닌 공공시설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리모델링 등 추가 지원이 필요할 경우 양 노총이 합의점을 찾아야 한다는 원칙을 내세우고 있다. 시민의 혈세로 마련된 공공시설과 노동자에 대한 지원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입장인 셈이다.

한편 노동복지회관과 성격은 다르지만 지난해 4월 보훈회관 리모델링 후 8개 보훈단체가 한꺼번에 입주한 사례가 있어 노동복지회관 운영에도 영향을 미칠 지 주목되고 있다. 보훈회관은 현재 3개 보훈단체가 시와 공동으로 위탁운영 계약을 체결해 보훈회관을 관리하고 있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