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방사능 불안한데 뒷짐 진 양산시 ..
사회

방사능 불안한데 뒷짐 진 양산시

노미란 기자 yes_miran@ysnews.co.kr 375호 입력 2011/04/12 09:23 수정 2011.04.12 09:11
시민 불안 해소 위해 대비책 마련 필요



“봄비 맞지 마세요”

일본 원전 사태 이후 국내에서도 방사능 물질이 검출되면서 어느 때보다 방사능에 대한 관심이 높다. 게다가 최근 봄비가 내리면서 방사능에 대한 불안감은 쉽게 가라않지 않고 있다. 더욱이 양산지역은 고리 원전과 직선거리로 30㎞가 채 되지않아 만일의 사태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지만 정작 시는 기초단체에서 다룰 수 있는 업무가 아니라며 방사능에 대한 대비책 자체가 없는 실정이다.
 
현재 전국 방사능 수치를 측정하는 감시망은 지방방사능측정소 12곳, 간이방사선측정소 36곳, 원자력발전소 주변 4곳, 군연계측정소 19곳에 설치되어 있다. 양산의 경우 지역 내 군부대에서 방사선량을 측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방사능물질에 대한 측정은 부산지역에 설치된 지방방사능측정소에서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부산 대연동에 있는 측정소에서 양산지역의 실제 방사능물질을 측정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상황이 이렇지만 시는 방사능 문제에 대해 기초단체의 업무가 아니라는 이유로 담당부서조차 정하지 못한 상태이다. 일본 원전 사태 이후 시는 민방위 훈련 교육을 위한 방사선간이탐지기를 구입하고 방사능에 대비할 수 있는 기본적인 행동요령을 홍보자료로 배포한 것이 전부다.

이런 시의 대응에 대해 박아무개(27, 북정동) 씨는 “양산 가까운 곳에 원자력발전소가 운영되고 있는데 이번 일본 사태를 계기로 시가 적극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며 “재난 대책은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는 것이 기본”이라고 꼬집었다.

정부의 발표에 따르면 현재 측정되고 있는 방사선량은 정상범위이지만 방사선에 대한 시민의 우려는 해소되지 않고 있다. 여기에 고리 원전이 양산지역과 직선거리로 30㎞도 채 떨어져 있지 않은 데다 최근 지질학적으로 양산 단층이 우리나라에서 지진 발생 가능성이 가장 크다는 학계 보고가 있다. 또한 수명을 다한 고리 원전 1호기에 대한 안전평가보고서가 공개되지 않은 채 3년째 운영되고 있어 지역 특성을 고려한 시의 대책이 마련돼 시민들의 불안을 해소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