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이덕재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경남동부지도원장 | ||
ⓒ 양산시민신문 |
지난 한 해 동안 전국 일터에서 근무 중 다친 근로자는 9만8천645명이다. 이 가운데 2천200명이 숨졌다. 하루 평균 260명이 부상하고, 6명이 숨진 셈이다. 재로 인한 근로손실일수는 5천670만일로 노사분규에 따른 손실일수 51만일의 110배에 달한다. 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17조3천157억원. 이는 연봉 2천만원에 해당하는 신규 근로자를 88만명 정도 고용할 수 있는 돈이다.
또한 노사분규에 따른 손실액 1조원(최근 3년간 연평균 손실액)에 비해 17배 이상 많다. 대형 파업이 발생하면 국가 경제가 망할 것처럼 온 나라가 소란스럽지만 산업재해의 심각성에는 그다지 반응과 관심이 없다.
지난해 사고성 사망만인율(근로자 1만명당 사망자수)을 선진국과 비교해보면 산업재해로 인한 손실이 얼마나 심각한지 알 수 있다. 한국은 사망만인율이 9.7명으로 OECD 회원국 가운데 최악이다. 미국 3.8명, 일본 2.3명, 독일 2.0명, 영국 0.7명 등으로 영국의 무려 14배나 높은 수치다.
한국경제는 고속성장의 신화를 만들어왔으나 산업재해는 후진성을 면치 못하고 있다. 한국은 OECD 회원국 가운데 수출상품 세계시장 점유율 8위, 무역규모 9위, 국내총생산(GDP) 규모 11위 등으로 선진국 문턱에 진입했으며, 또한 지난 6일 강원도 평창이 동계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돼 스포츠 그랜드슬램을 달성하는 쾌거를 달성하면서 국가 인지도가 높아지고 것과 극명하게 대조를 이룬다.
산재가 후진국형에 머물러 있는 것은 여러 가지 요인이 있지만 가장 큰 원인은 안전 불감증 때문이다. 비용을 아낄 수 있다면 생명도 담보로 한다. 공기 단축이 비용으로 연결되는 건설현장에서는 특히 적정 공사기간을 생각하지 않고 공휴일과 야간에도 무리하게 공사를 밀어붙이는 바람에 대형사고가 빈발한다.
산업재해는 근로자 개인은 물론 가족의 행복을 앗아가고 기업 생산성, 국가경쟁력을 약화시킨다. 우리나라 산업안전 수준도 이제는 경제수준에 맞게 선진국형으로 도약할 때가 됐다. 공단에서는 ‘조심조심 코리아, 위험을 보는 것이 안전의 시작입니다’라는 슬로건을 지정해 국민의 안전의식이 선진국 수준에 도달하는 캠페인을 전개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의 결과가 결실을 볼 수 있도록 간절하게 소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