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문고 선정이 또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시는 양산지역 고교 11곳 가운데 효암고ㆍ양산고ㆍ양산제일고 등 3곳을 우수고로 선정해 1억원씩 지원키로 하는 ‘기숙형 및 우수고 육성지원’ 예산 3억원을 편성했다. 하지만 지난 22일 시의회에서 열린 추가경정 예산심의에서 ‘우수고 선정 기준이 모호하다’는 이유로 2억원이 삭감됐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효암고는 교육과학기술부가 선정한 기숙형 고교, 양산고 역시 교육과학기술부가 선정한 자율형 공립고, 그리고 양산제일고는 수능 전국 100위권 안에 포함되는 명실상부한 학력우수고이기 때문에 3곳 학교를 우수고로 선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시의회는 “효암고는 올해 개정한 <양산시 교육경비 보조에 관한 조례>에 따라 기숙형 고교의 기숙사 경비 지원 명목으로 추경예산지원이 가능하지만 나머지 두 학교는 우수고 육성이라는 명분으로 지원하기에는 충분한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았다”며 심의를 거쳐 2억원을 삭감했다.
명문고 육성을 위한 집중투자 고교 선정 문제는 지난해부터 양산교육계의 뜨거운 감자였다.
2010년도 교육경비보조 심의위원회에서 ‘교육경비보조금을 학교시설지원이 아닌 명문고 육성에 집중투자하자’는 의견이 모아지면서 ‘명문고’가 화두로 떠올랐다. 이후 박희태 국회의원과 양산교육지원청이 공동주최한 ‘교육이 강한 양산만들기’ 토론회에서도 ‘명문고 육성이 교육도시의 밑거름이 된다’는 결론을 도출하기도 했다.
하지만 문제는 양산지역 고교 11곳 가운데 어느 학교를 집중투자 학교로 선정하느냐는 것이다.
민간교육단체인 양산교육선진화위원회가 양산고와 효암고 2곳을 집중투자 우수고교로 선정하자 일부 교육계 인사들이 강력 반발했다. 이에 시는 교육관계자 20여명을 초청해 간담회를 개최했지만 역시 이렇다 할 방안이 도출되지 못한 채 ‘명문고 육성방안’은 미궁 속으로 빠졌다.
때문에 명문고 선정 기준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은 상황에서 올해 또 다시 시가 ‘우수고 선정, 예산 지원’이라는 카드를 들고 나오자 논란이 불거진 것이다.
정석자 의원(민주당, 비례)은 “명문고 선정 기준이 대학진학률이라면 양산지역 고교 11곳을 모두 비교분석해야 하며, 학력향상 프로그램 등 학교의 교육과정과 노력의지를 보는 것이라면 학교별로 사업계획서를 받아 검토해야 마땅하다”며 “우수인재 역외유출을 막고 교육이 강한 양산을 만들기 위해 지자체 차원에서 명문고교를 육성하자는 의견에는 이견이 없지만, 정책방향이나 지원방안은 좀 더 신중하고 공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