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 추진하고 있는 각종 체육시설 조성 사업에 시의회가 제동을 걸고 나섰다.
시는 지역별 체육시설 확충을 통해 민원을 해소하고 생활체육을 활성화하겠다는 취지라고 설명했지만, 시의 부채규모가 늘고 있는 상황에서 사업 우선순위를 체육시설에 두는 것은 곤란하다는 것이 시의회의 입장이다.
지난 4일 시는 공유재산관리계획심의에 따른 사업계획안을 시의회 의원협의회에 보고했다. ‘공유재산관리계획’이란 시장이 예산을 편성하기 전에 해마다 일정 규모 이상의 공유재산에 대한 취득과 처분에 관한 계획을 시의회 심의를 거쳐야 하는 행정 절차를 말한다. 계획안에 따르면 ▶배구전용 연습구장(18억원) ▶웅상근로자체육공원(46억원) ▶하북스포츠파크(68억원) ▶동면체육공원(100억원) 등을 오는 11월에 있을 공유재산관리계획 심의에 상정하겠다것. 문제는 4개 체육시설에 소요될 예산이 모두 232억원이고, 국비와 도비를 제외한 시 예산만 자그마치 112억원이 든다.
이처럼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어야 하는 사업을 내년에 동시에 추진할 경우 시 재정 부담이 커질 수 밖에 없다. 더욱이 시급성이 떨어지거나 필요성이 없는 체육시설이 계획에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 시의회의 입장이다.
특히 공유재산관리계획 심의에 두 번이나 상정됐다 삭제된 배구전용 연습구장 설립을 또다시 거론한 것에 대해 일부 의원들은 상당한 불쾌감을 나타냈다.
의원들은 “현재 국민체육센터 내 체육시설을 활용해 시청여자배구단이 연습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했는데 불구, 전용구장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는 이유를 모르겠다”며 “시의회 결정을 무시한 채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생각이라면 굳이 의견을 구할 필요가 있냐”고 항의하기도 했다.
이어 하북스포츠파크와 동면체육공원 조성에도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하북스포츠파크는 하북종합관광개발 계획과 맞물려 관광지와 연계한 체육시설을 조성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이미 42억원을 들여 2009년 하북체육공원을 조성해 놓고 3년 만에 또 다른 시설을 계획하면서 정작 스포츠파크와 연계한 숙박시설, 부대시설 등에 대한 계획이 뒷받침되지 않아 사업 실효성이 의심스럽다는 지적을 받았다.
동면체육공원 역시 사송미니신도시가 조성된다는 전제로 도시관리계획이 결정됐지만, LH가 신도시 조성을 차일피일 미루고 있어 시행이 급하지 않다는 것이다.
시의회는 무엇보다 예산 부족으로 웅상체육공원 조성사업이 지연되고 있는 가운데 또 다른 사업을 추진해서는 안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시의회는 “올해 6월 준공되어야 할 웅상체육공원이 내년 9월로 공기가 연장됐다”며 “공원이 준공하려면 시비뿐 아니라 국·도비를 포함해 모두 79억원이 더 필요한데, 진행 중인 사업에 대한 예산도 없으면서 또 다른 사업을 벌이는 일은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말해 시의 계획에 거듭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