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구초심(首丘初心)
首 머리 수 丘 언덕 구 初 처음 초 心 마음 심
여우는 구릉(丘陵)에 굴을 파고 사는데 죽을 때도 그 머리를 자기가 살던 구릉 쪽에 둔다. 이것은 그 근본을 잊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구초심이란 그 근본을 잊지 않는 것, 또는 고향을 절실히 그리는 마음을 말한다.
출전 : 예기(禮記)의 단궁 상편(檀弓 上篇)
태공(太公)은 제(齊)나라 영구(營丘)에 봉해져 계속해서 오대(五代)에 이르기까지 살았으나 주(周)나라에 와서 장례를 치렀다.
군자가 말하기를 “음악은 그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바를 즐기고 예는 그 근본을 잊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옛 사람의 말에 이르되, 여우는 죽을 때에 머리를 자기가 살던 굴 쪽으로 바르게 향하는 것이 인(仁)이라고 하였다”고 말했다.
樂樂其所自生(낙낙기소자생)
禮不忘其本(예불망기본)
古之人有言(고인지유언)
曰狐死正丘首仁也(왈호사정구수인야)
여기서 태공은 문왕과 무왕을 도와서 은나라를 멸하고 주나라를 일으킨 여상(呂尙)을 가리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