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조경사업에만 수십억원을 투입한 중앙분리대에 쌓여가는 쓰레기를 치우기 위해 또 다른 인력과 비용이 해마다 지출되고 있다. |
ⓒ |
토지주택공사 양산사업단(이하 LH)이 지난 18일 서남마을회관에서 양산신도시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하고 있는 황전아파트 앞 ‘양산물금택지개발지구 지하차도 6호선 건설’ 공사에 대한 주민설명회를 개최했다.
지하차도 6호선은 양산부산대병원에서 황전아파트 앞 삼거리를 잇는 지방도 1022호선 내 길이 695m에 왕복 4차로 규모로 2003년 설계됐다. LH는 당초 이 사업을 대행개발 방식으로 추진했지만 공사계약이 지연되자 결국 최저가 입찰을 통해 남영건설이 시공사로 선정, 2009년 8월 착공했다.
하지만 일부 주민들이 지하차도 실효성의 의문을 제기하며 건설 백지화를 주장해 공사를 중지하고, 주민들의 요청에 따라 이 구간에 대한 교통영향평가 재심의를 받았다. 결국 ‘설치 필요’로 심의 결과가 나왔고, 지난해 12월 공사가 다시 재개됐다.
LH는 이날 설명회에서 지하차도 공사가 본격화되면 현 도로를 폐쇄하고 양산부산대병원 쪽으로 4차선 임시도로를 개통해 주민 통행에 불편함이 없도록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공사가 상당히 지연된 만큼 조속한 진행으로 내년 12월을 목표로 공사를 완료하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주민들의 입장은 변함이 없다. 지하차도 6호선은 교통흐름에 큰 효과가 없고, 대형 난공사로 인해 인근 마을 주민 피해가 속출할 것이라는 주장이다.
이날 일부 주민들은 “공사가 본격화되면 서남마을 주출입로가 없어지며 도로가 상가들 피해가 상당할 것”이라며 “주민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180억원이나 들여 공사를 강행할만큼 반드시 필요한 사업인지 의구심이 든다”고 말했다.
앞서 서남마을과 황전마을 등 일부 주민들이 지하차도반대추진위원회를 구성해 지난 5일 시청과 의회, 국회의원 사무실에 진정서를 제출했다. 또한 11일에는 청와대, 행안부, 국토해양부, 국민권익위, 경남도시자, 토지공사 본사 등에도 실효성 없는 공사로 주민들의 큰 피해가 예상된다는 내용의 진정서를 제출했다.
LH 관계자는 “지하차도 실효성은 교통영향평가로 인해 증명이 됐고, 반대 주민들 외 상당수 주민들이 조속한 공사를 요구한 사항이기에 공사는 정상적으로 진행될 것”이라며 “현재 대형가스관과 상수도시설 등 지장물조사는 완료됐고 오는 9월까지 임시도로를 개통하고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에 반대추진위 관계자는 “가촌 휴먼시아아파트 부출입로와 황산로를 연결하는 도로를 개통하고, 삽량교에서 물금읍을 잇는 부산대양산캠퍼스 구간을 지하차도화하면 일대 교통흐름이 원활해 질 것”이라며 “양산신도시를 위해 원도심을 죽여가면 강행하는 공사를 절대 인정할 수 없다”고 강경하게 대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