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국토관리청의 주민설명회에서 새로 개설될 국지도60호선(빨간색 점선)이 지나는 유산공단(사진 위) 일부 입주기업과 화제마을(사진 아래) 주민들이 크게 반발하고 나섰다. |
ⓒ |
하지만 북부천 고가도로 건설로 인한 인근 주민의 조망권 침해와 소음, 도심 미관 저하 우려, 인근 학교의 학습권 침해 등 민원이 쏟아진데다 앞으로 구도심 도시발전계획에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판단한 양산시가 고가도로 건설 대신 옛 양산나들목에서 기존 6차선 도로를 이용해 양산대교를 건너 화제터널로 진입하는 대안을 제시했고, 국토관리청이 이를 받아들여 실시설계에 반영하면서 이번 설명회가 진행됐다.
그러나 지난 11일 오전 삼성동주민센터와 오후 화제 명언마을회관에서 차례로 열린 ‘국지도60호선(매리~양산) 건설공사 실시설계 주민설명회’에서 또 다른 민원이 쏟아져 나왔다. 설계변경으로 인해 피해가 예상되는 일부 유산공단 입주기업과 마을이 두 동강 날 위기에 처한 화제 주민들의 반발이다.
----------------------------------------
“공장 돌리지 말라는 소린가?”
유산공단 입주기업 공장부지 편입 불가피
실시설계(초안)에 따르면 옛 양산나들목(베데스다 병원 옆)으로 나온 국지도60호선은 기존 6차선 도로를 타고 양산대교를 건너 유산공단을 지나 오봉터널로 진입해 화제를 지나 김해 매리로 빠져나간다.
문제는 기존 유산공단 도로가 폭 15m에 불과해 국지도60호선 건설을 위해서는 폭 25m로 확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때문에 유산공단 내 도로 시설물은 물론 일부 입주기업 공장부지의 편입이 불가피하다. 결국 도로 확장을 위해 공장 일부를 강제 편입 당할 처지에 놓인 기업인들이 강하게 반발하며,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한 기업인은 “현재 실시설계대로라면 공장의 30%가 편입될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피해를 감수하는 정도가 아니라 아예 공장을 돌리지 말라는 소리”라며 “처음에 춘추공원 앞으로 도로가 생길 것이라는 말을 듣고 부산에서 유산공단으로 공장을 옮겼는데 막대한 지장이 발생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다른 기업인은 “주민과 이해관계자의 민원에 따라 노선이 변경되면 또 다른 민원만 양산하는 셈”이라며 “애초 노선대로 도로를 개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국토관리청 관계자는 “세부 설계까지 진행한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어디가 편입될지는 확정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지만 일부 입주기업의 편입은 불가피할 것”이라며 “공단 피해와 입주기업 편입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어 “필요하다면 차후 공단 입주기업인들을 대상으로 따로 설명회를 진행하겠다”고 말했지만 기업인들은 불만과 불안감을 감추지 않고 있다.
홍성현 기자 redcastle@ysnews.co.kr
----------------------------------------
화제 갈라 놓는 도로 “안돼!”
변경된 노선으로 화제마을 두 동강 위기
원동 화제리 주민들이 단단히 화가 났다. 국지도60호선이 마을 한 가운데를 지나는 것으로 설계됐기 때문이다. 주민들은 양산시내 아파트 입주민들의 반발로 노선이 변경돼 그 피해를 고스란히 안게 됐다고 울분을 토했다.
실시설계에 따르면 국지도60호선 화제구간은 오봉터널에서 명언마을과 중리마을 사이를 지나 화제배수펌프장 방향으로 낙동대교와 이어진다. 국토관리청은 이 노선은 우량농경지와 명언마을을 우회해 주민피해를 최소화했고, 지방도1022호선과 교차하는 화제교차로를 설치해 사통팔달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주민들은 국지도60호선이 화제를 두 동강을 낼 것이라며 반발했고, 노선에 포함된 농경지 대부분이 우량농경지로 재산권 침해가 상당하다고 주장했다.
이날 주민들은 “기본설계 과정에서는 명언마을 위쪽 오봉산을 지나 한국수자원공사로 이어져 화제리 마을로는 전혀 관통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이 노선을 보니 황당할 따름”이라고 말했다.
주민들은 기본설계와 달리 노선이 변경된 것이 양산시내 아파트 주민들의 반발 때문이 아니냐고 따져 묻기도 했다. 당초 양산시 신기동에서 출발하던 노선이 강서동으로 바뀌면서 노선이 전체적으로 북쪽으로 치우쳤기 때문이라는 것이 주민들의 설명이다.
이에 대해 국토관리청은 “김해와 원동을 잇는 낙동대교가 민자사업에서 국비사업으로 전환되면서 불가피하게 노선변경이 발생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주민들은 마을 피해가 뻔히 보이는 상황에서 현재 노선을 찬성할 수는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결국 국토관리청은 주민들이 요구하는 방향으로 다시 설계해 주민설명회를 다시 개최할 것이라고 밝혔다.
엄아현 기자 coffeehof@ys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