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강진상 평산교회 목사 | ||
ⓒ |
베트남 전쟁 당시 하노이 힐튼 포로수용소에서 1965년부터 1973년까지 8년간 수용됐던 미군 장군 짐 스톡데일(Jim Stockdale)이 있었다.
20여차례 모진 고문과 전쟁포로의 권리도 보장받지 못한 채 정해진 석방일자도 없고 심지어는 가족들을 다시 볼 수 있을지조차 불확실한 상태로 지옥 같은 생활을 견뎌냈다.
그는 수용소 내 통솔 책임을 떠맡아, 자신을 체포한 사람들과 포로들을 선전에 이용하려는 그들의 시도에 맞서 싸우며 가능한 많은 포로들이 부상 없이 살아남을 수 있는 조건을 만들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뭐든지 했다.
포로 생활의 외로움을 극복하기 위해, 대화가 단절된 독방생활 속에서 서로를 격려하고 신뢰를 유지하기 위해 의사소통의 방법과 고문에 견디는 방법도 개발했다.
믿음의 결과로 석방된 스톡데일은 해군 역사상 조종사 기장과 의회 명예 훈장을 동시에 받는 최초의 3성 장군이 됐다. 그가 비교한 결과 수용소에서 먼저 사망한 사람들은 비관적이었다. 평소 희망도 꿈도 없었던 사람들이었다. 두 번째는 단순한 낙관주의자들이었다. 아무런 근거 없이 크리스마스가 지나면 ‘부활절까지는 나갈 거야’하고 말하고 부활절이 오면 추수감사절을 고대하다 상심해 죽는다.
그래서 스톡데일이 했던 마지막 세 번째 방법은 현실적 낙관주의였다. 기다리고만 있어서는 안 되고 꿈을 갖고 희망을 가지고 준비해야 된다. 냉정한 현실에 근거한 준비를 해야 살아 나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꿈과 힘을 주고 노력하고 했던 마지막 사람들이 대부분 살아남았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스톡데일 패러독스’라는 말이 생겨나게 된 것이다.
스톡데일의 명언은 “상황이 아무리 어려울지라도 결국은 모든 것이 잘 될 거라는 희망을 간직하는 동시에 끔찍한 현실을 직면할 수 있는 능력이 자기 삶을 주도하거나 조직을 이끄는 위업을 이룬 사람들의 대표적인 특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