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빨간 버스를 추억하는 사람들..
사회

빨간 버스를 추억하는 사람들

노미란 기자 yes_miran@ysnews.co.kr 입력 2012/09/11 14:00 수정 2012.09.11 03:38






● 따뜻한 정(情) 싣고 달리던 빨간 버스

1969년부터 3년간 부산으로 고등학교를 다닌 김수룡(61, 교동) 씨 역시 빨간 버스로 통학하던 기억이 선명하다.

당시 양산에서 중학교를 졸업한 학생 중 10% 정도는 부산에 있는 고등학교로 진학했다. 흔들림이 심한 버스에 몸은 고됐지만 따뜻한 정(情)이 있었다.

학생들이 많지 않아 기사들이 얼굴을 알고 챙긴 것. 김 씨는 “버스 기사들은 타야 할 학생이 안 보이면 2~3분 기다렸다가 학생을 태우고 출발하기도 했어요. 혹여나 결석하게 되면 함께 타는 이웃집 승객들이 얘기를 전해 듣고 알려주곤 했죠”라며 당시를 떠올렸다.


 
 
● 배차 시간 보면서 양산 좋아진 걸 느껴

1960년대에 상북 석계에서 양산중학교를 다닌 임승진(66, 상북면) 씨 역시 ‘12번’에 대한 추억이 많다.

“당시 버스 요금이 6원 정도 됐던 것 같아요. 비싼 편은 아니었지만 시골 가정에 돈이 많지가 않아서 매일 타진 않았어요. 또, 버스가 자주 다니지도 않았고요”

양산이 좋아졌다고 언제 느끼냐는 물음에 임 씨는 “배차 시간 간격이 줄어든 거죠. 양산의 중심을 지나는 황금노선임에도 예전에는 배차 간격이 한 시간 정도는 된 걸로 기억하거든요. 시간도 들쭉날쭉했으니까요”라고 말했다.


● 반갑지 않은 12번 승객 ‘깍쟁이’


사람이 언제나 빽빽했던 12번 버스에는 ‘깍쟁이’라 불렸던 소매치기도 있었다.

정진옥(81, 북부동) 씨는 “소매치기 하는 ‘깍쟁이’가 많았습니다. 2명이 짝을 이뤄 한 명이 가리고, 한 명이 물건을 훔쳤어요. 저도 두 번 당했고, 주위 사람들도 많이 당했죠”라고 떠올렸다.

정 씨는 결혼식에 참석하느라 부산으로 가는 버스 안에서 지갑을 통째 잃어버리기도 했다. 돈만 쏙 빼고 버스에 버리고 간 지갑을 돌려받은 적도 있다.

이처럼 ‘깍쟁이’들은 승객들이 돈을 두둑하게 들고 다닐 법한 시기에 주로 출몰했다. 설이나 추석을 앞둔 대목 장날이나 부산 등지로 가는 결혼식 하객들이 많이 타는 일요일이 대표적인 작업날이었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