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故鄕)에 돌아온 날 밤에
내 백골(白骨)이 따라와 한방에 누웠다.
어둔 방(房)은 우주(宇宙)로 통(通)하고
하늘에선가 소리처럼 바람이 불어온다.
어둠 속에서 곱게 풍화작용(風化作用)하는
백골(白骨)을 들여다 보며
눈물 짓는 것이 내가 우는 것이냐
백골(白骨)이 우는 것이냐
아름다운 혼(魂)이 우는 것이냐
지조(志操) 높은 개는
밤을 새워 어둠을 짖는다.
어둠을 짖는 개는
나를 쫓는 것일게다.
가자 가자
쫓기우는 사람처럼 가자
백골(白骨) 몰래
아름다운 또 다른 고향(故鄕)에 가자.
- 윤동주 <201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에서
-------------------------------
![]() | ![]() | |
↑↑ 김순아 시인 한국문인협회 양산지부 | ||
ⓒ |
화자는 어둔 방(내면세계)에 백골처럼 누워 우주(열린 세계)로 부르는 바람소리를 듣습니다. 이 바람은 “나”의 “아름다운 혼”을 흔들며 새로운 세계로 향하게 합니다. 현실에 안주하고자하는 “백골”과 거부하는 “아름다운 혼”이 갈등을 일으킵니다. 4연의 “어둠을 짖는 개”는 갈등하면서도 실천하지 않는 무력한 나를 일깨우는 것으로, 자아의 양심을 압박해 옵니다. 시인은 마침내 부끄러운 자아인 “백골”을 떼어놓고 “아름다운 또 다른 고향”으로 가리라 다짐합니다.
시대의 부조리와 모순을 인식하고 거기 맞서 저항했던 시인 윤동주, 그의 이 시는 자본주의의 모순된 상황 속에 놓여 있으면서도 그것을 생각하지 못하고 사는 지금의 우리를 부끄럽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