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유병철 양산대학교 글로벌 CEO 아카데미 원장 | ||
ⓒ |
지난 9월 10일은 올해로 10번째를 맞이하는 ‘세계 자살 예방의 날’이었다. 세계보건기구와 국제자살예방협회가 생명의 소중함과 자살 문제의 심각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 2003년 제정한 기념일이다. 우리나라도 2003년 12월 한국자살예방협회를 창립하고 다음 해 9월 10일 전 세계 여러나라와 더불어 ‘제1회 세계 자살 예방의 날 기념식’을 개최하였다.
OECD 회원국 평균의 2배 넘어
협회는 기념행사를 통해 자살예방을 위한 국가 및 사회의 공동 노력을 촉진하고, 국민들과 정부, 시민단체, 관련 전문가와 자살예방활동을 하는 자원봉사자들이 참여하여, 생명의 소중함을 깨닫고 알리는 공동의 책임을 촉구함을 그 설립목적으로 하고 있다.
문제는 이런 기념일이 있어도 우리나라의 자살률이 크게 낮아지지 않고 있는데, 2010년 한국에서 자살한 사람은 1만5천566명으로 하루 평균 42.6명꼴이고 10만명당 자살자 수는 31.2명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가 발간한 ‘OECD 헬스데이터 2012’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2010년 기준으로 인구 10만명당 33.5명으로 2009년 28.4명보다 5.1명 늘었다. 이는 OECD 34개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을 뿐 아니라 회원국 평균치인 12.8명보다 2.6배나 많은 수치다.
한국에 이어 2위인 헝가리는 23.3명, 3위 일본은 21.2명이고 미국은 12.0명, 영국 6.7명이며 그리스는 2.2명으로 회원국 중 최소 1위를 차지했는데 그리스는 최근 국가 부도위기까지 맞는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자살률이 가장 낮은 것은 아이러니하다.
청소년 사망원인 1위는 자살
또한 보건복지부의 ‘2011년 정신건강실태조사’에 따르면 한국 성인의 15.6%는 평생 한번 이상 심각하게 자살을 생각하고, 3.2%는 자살을 시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와 통계청 자료를 보더라도 2010년 청소년 사망 원인 1위는 단연 자살(13%)이었고 청소년 10만명당 13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셈이다. 노인은 10만명당 81.9명으로 일본(17.9명), 미국(14.5명)과 비교가 안 된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 통계청 자료(인구 10만명당 자살자 수)를 바탕으로 전국 지자체별 자살률을 비교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전국 16개 시ㆍ도 중 경남은 29.3명으로 8위였고, 서울이 24.3명으로 가장 낮은 반면 충남이 36.9명으로 가장 높았다.
경남에서 양산은 4번째로 높고 시 단위에서는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같은 수치는 전국 평균 자살률 31.2명보다 4명이 많은 것으로 전국 244개 지자체 가운데 57번째로 높은 자살률을 보이고 있다.
한국은 2004년에 OECD 회원국 중 자살률 1위에 오른 이후 7년째 부동의 1위를 지키고 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아마도 행복지수가 매우 낮기 때문일 것이다. 국가는 부자인데 국민은 가난하다는 말이 이제는 우리나라에도 적용되는 것 같다.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2011년 국가경쟁력 보고서를 살펴보면 국가와 기업은 부유하지만 국민은 그렇지 못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또한 ‘OECD 국가 삶의 질 구조에 관한 연구’ 논문에 따르면 OECD에 가입한 34개의 나라 중 한국의 행복지수가 10점 만점 중 4.20점으로 32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행복지수는 세계의 최상위국인 덴마크, 오스트레일리아, 노르웨이, 오스트리아, 아이슬란드와는 비교할 수도 없고, 터키와 멕시코에 이어 꼴찌에서 3번째이다. 이러한 통계로 미뤄 볼 때 우리는 외형적으로는 세계 10위권의 경제 대국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아직도 행복 후진국가일 뿐이다.
행복은 ‘도 아니면 모’ 아니다
도대체 행복이란 무엇인가? 행복은 남으로부터 주어지는 하나의 결과가 아니라 내가 스스로 만들어가는 과정이다. 행복의 반대개념은 불행이 아니다. 즉, 행복은 일체(all)인가 아니면 무(nothing)인가의 문제가 아니라는 뜻이다.
행복은 직접적으로 얻을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라 다른 활동과 목적을 통해 간접적으로 얻는 하나의 부산물이다. 행복은 방의 모든 문을 열 수 있는 호텔의 마스터 키처럼 모든 사람들에게 똑같이 통용되는 것이 아니다. ‘체감온도’라는 말이 있듯이 ‘체감 행복도’라는 말과 ‘행복지수’라는 말도 있다.
다가오는 18대 대통령 선거는 해석이 분분한 경제 민주화나 포퓰리즘적 복지정책 보다는 국민의 행복지수를 조금이라도 높이는 실질적인 정책과 공약을 국민들은 선호하기 때문에 허황하고 과장된 선거가 아닌 국민의 눈물을 닦아주는 정치, 국민의 행복지수를 높이는 정책선거를 펼쳐 주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