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폭력에 연루돼 강제전학 처리된 ㄱ 양을 둘러싼 양산여중과 양산교육지원청의 갈등이 ‘제3학교 재배정’으로 일단락됐다.<본지 485호, 2013년 7월 2일자>
하지만 이 사건이 강제전학 대상학교 반발의 선례가 돼 언제 다시 터질지 모르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어 재배정은 근본적인 해결이 되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양산교육지원청은 지난 2일 ㄱ 양에 대한 양산여중 전학을 철회하고 양산지역 내 제3학교로의 재배정을 결정했다. 당분간 양산교육지원청 내 학생위기상담종합서비스 ‘위센터’에서 상담프로그램 등 특별교육을 이수한 뒤 제3학교로 전학하는 것으로 마무리했다.
양산교육지원청은 “해당 학교의 강한 반발로 이번 문제가 상당수 언론보도를 통해 알려져 ㄱ 양은 물론 양산여중의 다른 학생들 역시 안정적인 교육을 받지 못할 것으로 판단돼 강제전학을 취소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양산여중은 양산교육지원청의 결정이 미봉책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양산여중은 지난 1일 양산교육장과 교육과장, 담당 장학사 2명 등 4명에 대한 파면건의안을 경남도교육청에 발송했고 3일에는 신도시 이마트 앞에서 100여명의 교원들이 교육청 규탄 집회를 열기도 했다.
양산여중은 “본교는 단 한 차례도 강제전학 조치를 한 적 없다. 문제학생이라 할지라도 해당 학교가 포용하고 훈육해야 한다”며 “앞으로 양산지역에서 다시는 ‘폭탄 돌리기’ 형태로 문제학생에 대한 강제전학이 자행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양산 2곳 대안학교… 학력 미인정 아쉬워 ⓒ
경남 공립 중ㆍ고 대안학교, 위스쿨 설치
전학생을 두고 ‘받아라’, ‘못받는다’며 학교와 교육청간 핑퐁게임이 자행된 이번 사태를 보며 대안교육의 필요성이 다시금 대두되고 있다.
한 고등학교 교사는 “교육은 1명의 학생을 서울대에 보내는 것이 아닌 100명의 평범한 학생을 무사히 졸업시키는데 그 목적을 둬야 한다”며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는 학생을 모두 문제아라고 판단하는 것 자체가 잘못이며, 입시와 공교육과정의 틀에서 벗어나 이들을 포용하고 개성을 살리는 ‘전인교육’을 할 수 있는 대안교육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양산지역은 현재 대안교육을 표방하고 있는 두 곳의 교육기관이 있다. 초등 대안학교인 ‘꽃피는 학교’와 기독 대안학교인 ‘온누리국제크리스천학교’ 등이다. 하지만 두 곳 모두 비인가 대안학교로 졸업 후 학력이 인정되지 않아 공교육 속 대안교육이 아쉬운 시점이다.
경남도교육청 역시 대안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해 2010년 3월 창원시 마산합포구에 기숙형 공립 대안학교인 태봉고등학교를 설립했다. 또 진주시에 공립형 대안중학교인 꿈키움학교 설립도 준비하고 있다. 학교폭력 가해자는 물론 학교부적응 학생들에 대한 교육과 치료가 동시에 이뤄지는 기숙형 장기위탁교육기관인 ‘위스쿨’도 내년 3월 진주시 이반성면에 개교를 앞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