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가 바다로 유출된 사실이 알려지면서 수산물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이에 관련 기관들이 방사능 검사, 원산지 거짓 표시 단속 등 대책마련에 나섰지만, 대단지 수산시장이 없는 양산지역은 비교적 조용한 분위기다. 그렇다고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양산은 과연 안전지역일까.
임신 5개월인 오아무개(34, 평산동) 씨는 일주일 전부터 생선을 입에도 대지 않는다. 오 씨가 즐겨찾는 SNS에서 일본 방사능 오염수가 바다로 흘러들어 생선이 오염됐다는 글을 접했기 때문이다. 자신은 물론 태아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생각에서다. 오 씨는 “국내산이라고 표시한 생선을 구입해도 어쩐지 찜찜한 기분을 지울 수 없어 아예 안 먹을 작정”이라고 말했다.
직장인 김아무개(43, 중부동) 씨는 회식자리가 많아 점심식사로 명태탕이나 대구탕 등을 즐겨 먹는다. 하지만 최근에는 메뉴를 국밥으로 바꿨다. 아내의 당부도 있었지만 직장동료들도 수산물을 취급하는 음식점에 잘 가려하지 않기 때문이다. 김 씨는 “회식도 횟집에서 고깃집으로 바뀌는 분위기다. 날 것이나 끊인 것이나 모두 잘 먹지 않으려고 한다”고 말했다.
이처럼 수산물 전반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더욱이 추석연휴를 맞아 제수용ㆍ선물용 수산물을 구매하려는 소비자들은 원산지 표시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양산시농업기술센터에 따르면 양산지역 시장과 대형마트, 음식점 등을 대상으로 수산물 원산지 표시 위반 단속을 벌인 결과, 1월 초 음식점 1곳 적발에 그쳤다.
이에 대해 농업기술센터 농정과는 “양산지역은 농산물에 비해 수산물 취급점이 적어 적발 건수도 적은 편”이라며 “지난 주 김해ㆍ밀양ㆍ양산이 합동으로 진행한 특별단속에서도 농산물은 2건 적발됐지만 수산물은 비교적 잘 표시돼 있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문제는 수입산을 국내산으로 둔갑시켜 판매하는 거짓표시 부분이다. 거짓표시 단속은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부산지원에서 담당한다. 부산지원은 부산ㆍ울산ㆍ김해ㆍ밀양ㆍ양산 5개 구역을 전담하지만 원산지 단속은 내ㆍ외근직을 포함 3명에 그쳐, 수 만개에 달하는 수산물 취급점을 모두 단속하기에는 턱없이 모자란 인력이다.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부산지원 관계자는 “올해 모두 7차례 양산지역 단속을 진행했지만 적발건수는 1건도 없다”고 설명했다. 덧붙여 “한정된 인력으로 인해 부산 자갈치시장이나 울산 수산물도매시장 등 대규모 수산시장에 단속에 집중하는 게 사실”이라며 “하지만 양산지역은 시장규모도 작고 대부분 부산ㆍ울산 등 인근 대도시에서 유통되는 수산물로 한 차례 검열돼 들어가기 때문에 비교적 안전하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시민들은 여전히 불안하다는 반응이다.
한 시민은 “시장규모가 작아 단속의 손길이 미치지 못한다는 사실이 더욱 불안하게 만든다”며 “지자체에서 단순히 미표시 단속만 할 것이 아니라 전문 식견을 키워 거짓표시 단속까지 담당토록 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