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이혜옥 고려수지침학회 신양산지회장 | ||
ⓒ |
구강을 통해서 나는 냄새는 구강 자체로부터 기인하는 것과 구강 주변 또는 전신적인 상태난 질병으로부터 기인하는 냄새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그러나 전문의는 구강 외에서 기인하는 냄새는 10% 미만이며 대부분이 구강자체로부터 기인한다고 말하고 있다. 구취의 원인은 대부분 구강내 혐기성 세균이 원인이다. 세균의 부패 작용에 의해 휘발성 황화합물과 질소화합물이 생성돼 구취가 유발한다. 또 구취는 간이나 신장, 위, 폐 등의 장부질환이나 비염, 축농증이 있는 사람에게서도 나타난다.
특히 잇몸질환이 악화되면 냄새는 더 심해진다. 입안의 세균은 혀 안의 깊숙한 곳과 뺨 부위에 많이 존재한다. 세균은 입 안의 단백질을 분해해 휘발성 광화합물로 만든다. 잇몸의 염증이 심해지거나 치태, 설태가 많이 끼게 되면 악취는 더 심해진다. 그리고 입안이 마르게 되면 벗겨진 상피세포가 씻겨나가지 못해 입냄새를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입을 벌리고 있는 사람이나 침이 잘 나오지 않는 사람에게서 잘 나타난다.
특히 수면 중에는 침이 분해되지 않아 자고 일어나면 입안이 텁텁하고 냄새가 난다. 여성의 경우에는 질병이 없어도 월경이나 임신 중에는 구취가 날 수 있다. 월경이나 임신 중에는 호르몬이 변하기 때문이다. 일반인도 배고프거나 목이 마르면 입냄새가 날 수 있다. 이런 입냄새는 물을 마시거나 이를 닦으면 없어진다.
장부질환에서 발생하는 냄새는 냄새종류에 따라 해당 장기를 추측할 수 있다. 입을 다물고 코로 숨을 내쉬어 냄새가 나면 소화기나 폐질환을 의심할 수 있다. 암모니아 냄새는 신장질환을, 아세톤 냄새는 당뇨병을, 식초냄새가 나는 사람은 위질환을 의심할 수 있다.
![]() |
ⓒ |
입냄새는 침분비 이상이 있을 때 심해진다. 침의 세정작용이 방해받기 때문이다. 스트레스를 오래 받아도 침샘의 기능이 떨어져 구취를 풍긴다. 담배를 피우는 사람도 담배의 타르 성분이 입안을 건조하게 해 구취를 일으킨다. 술을 많이 먹어도 혈액에 노폐물이 축척돼 아세톤 냄새를 풍기게 된다. 냄새나는 음식(마늘, 양파, 파, 달걀, 무, 겨자)은 혈액으로 흡수돼 폐로 배출되면서 입냄새가 난다.
구취 예방법으로 섬유질이 풍부한 채소를 섭취하면 침샘을 자극해 입냄새를 없앤다. 특히 토마토의 아놀린 성분은 입냄새를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식후 양치질을 할 때도 혀 안의 뺨쪽을 잘 닦아주면 입냄새를 방지할 수 있다. 기본방과 상응부위에 하루 1~2회, 1회 5~6장씩 특상 황토뜸을 떠 주면 신진대사가 원활해지고 원기가 증강되고 침분비가 잘 돼 구취를 예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