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사회

[기획취재]건강도시 양산의 성공을 위해
추상적인 목표, 추진 방법 구체화해야

양산시민신문 기자 입력 2013/12/31 10:27 수정 2013.12.31 10:27
지역 자원 제대로 활용하고

정책 결정자 의지도 중요




건강도시를 선언한 양산시가 앞으로 진정한 건강도시로 평가받을지 여부는 현재의 결과론적 건강수준이 아닌, 건강도시라는 목표를 추구하고자 하는 과정에 의해 결정된다.

하지만 이 과정이 쉽지만은 않다. 또한, 건강을 시정 최상위에 놓고, 모든 정책을 추진한다는 건강도시의 개념 자체가 모호하다. 바로 이 점이 건강도시 사업을 회의적으로 바라보는 이유다. 건강도시가 목표하는 시민 건강이나 이를 실현하기 위한 주요 전략인 건강에 대한 전념, 주민 참여, 부문 간 협조 등이 개념적으로는 타당하지만 현실적으로 구체화하기 매우 어렵고, 추상적이라는 것이다.

또 건강도시 사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건강에 대한 시민의 높은 관심과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인데, 실제 시민 참여를 어떻게 이끌어 낼 수 있을지가 미지수다.

특히, 건강도시는 보건과 함께 사회ㆍ환경적 접근을 통해 도시의 경쟁력을 높여야 하는데, 효과를 예측하기 어렵다. 때문에 제한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해야 하는 정책 결정자 입장에서 효과가 입증되지 않는 사업에 과연 자원을 집중 투자할 수 있느냐에 대한 회의적인 시선도 존재한다.  

이러한 한계에도 단순히 먹고사는 문제에서 벗어나 삶의 질 향상에 가치를 두는 시대적 상황을 볼 때 건강도시는 분명 매력적인 정책 목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건강도시 사업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일률적인 잣대로 평가하기 어렵다. 또한 개별 도시가 처해 있는 상황에 따라 접근방식과 사업내용에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현재 상황에서 어떤 방식이 바람직한지 판단하기도 어렵다.

그럼에도 우리나라 건강도시를 살펴보면 분명 공통점도 존재한다.

먼저 지역을 제대로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건강도시 선두주자로 평가받는 도시를 살펴보면 지역의 특화산업과 특산물, 지리적 특징 등을 건강도시에 연계해 시민 건강뿐만 아니라 지역경제 활성화 차원의 신성장동력으로 활용하고 있다.

양산시도 항노화사업이나 낙동강 수변공원을 활용한 오토캠핑장과 같은 사업을 추진할 예정인데, 이들 사업의 성공이 ‘건강도시 양산’으로 발전하기 위한 추진력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 하나의 특징은 건강도시가 단순한 선언적 구호나 일회성 사업에 그치지 않고,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사업으로 추진하는 데는 최고 정책 결정자를 비롯해 각 부서의 정책 결정자들의 의지가 확고하다는 것이다. 정책 결정자의 정책 결정 과정에 이른바 ‘건강도시 DNA’가 자리잡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추상적인 목표를 구체화하기 위해서는 모든 구성원의 총체적인 노력과 협력이 필수적인데, 정책 결정자가 뚜렷한 목표를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같은 조건이 먼저 충족됐을 때 건강도시 성공의 필수 요건인 시민 참여도 비로소 가능해진다.

※ 이 취재는 경남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습니다.

홍성현 기자 redcastle@ysnews.co.kr 
김민희 기자 minheek@ysnews.co.kr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