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박성진 논설위원 | ||
ⓒ |
이런 상황에서 시민들의 경제활동도 활기를 찾아야 하고, 기업은 대내외적으로 산적한 현안들을 슬기롭게 헤쳐 나가야할 중대한 기로에 서 있다. 지방자치 20년을 맞는 양산은 과연 어느 지점에 와 있는지 정치인이나 공직자들은 진중하게 진단해 볼 필요가 있다. 지방화시대의 경쟁력은 어느 정도인지 평가해 보아야 한다. 중앙정부에 의존하는 재정의 건전화를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 숙고할 때다. 하지만 이런 모든 것들에 앞서 지역의 오피니언 리더들이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 덕목은 다음의 두 가지라고 생각한다.
맨 먼저 올해 가장 필요한 것은 시민사회의 대화합이다. 그동안 수 차례의 지방선거로 인한 편 가르기의 폐해는 쉽사리 사라지지 않는 지역발전의 걸림돌이 돼 왔다. 정당 간 대립은 선거의 기본 틀이지만 중앙정치무대에서의 이념 대립을 지방정치에서조차 답습할 이유는 없다. 후보자 간 진영 대립의 갈등도 선거가 끝남과 동시에 용해(溶解)돼야 한다. 매일같이 얼굴을 맞대고 살아가야 하는 작은 울타리 안에서 선거 때 뜻이 맞지 않았다 해서 반목을 계속한다면 지방자치의 의미는 퇴색하고 만다. 당선자는 자리에 앉는 즉시 반대편 사람들을 위무하고 그들의 이해를 얻는 일을 먼저 해야 한다.
지역사회를 떠받치는 힘은 화합에서 나온다. 왕조의 성립 시 개국공신들에 대한 편애나 논공행상(論功行賞)의 잘못으로 정치기반이 약해진 선례를 역사 속에서 찾을 수 있다. 지방선거에서의 승자의 잔치가 일방적이어서는 안된다. 추진동력이 힘을 받으려면 엔진의 출력이 높아야 하듯 시정 발전을 꾀하려면 그것을 미는 힘이 강해야 하는 것이다. 내 편 네 편 가르다 보면 그 동력이 약해질 수밖에 없다.
이런 의미에서 지난 몇 년 동안 여성계의 간극(間隙)을 방치 내지는 조장한 시 당국은 비판을 피할 수 없다. 여성친화도시를 표방하면서도 두 개로 나뉘어진 여성지도자들의 반목을 해소하려는 노력은 부족했다. 그 골이 깊어져 고착화 되기 전에 획기적인 화해의 단초를 제공해야 한다. 여성친화정책은 양성의 평등 이전에 여성계의 대동단결이 선행돼야 한다.
다음으로 도시의 정체성 확립이다.
양산시의 도시 브랜드는 어떤 것인가. 30년, 50년 후의 양산시는 어떤 모습일까. 우리 고장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일은 다른 어떤 정책보다도 우선돼야 한다. 작금의 우리 지역을 돌아보자. ‘기업하기 좋은 도시’나 ‘교육과 문화의 도시’ 구호가 낯설지 않다. 그런가 하면 ‘천혜의 자연환경을 가진 관광 양산’이라는 구호도 귀에 익었다. 최근에는 ‘디자인 허브 도시’ 구호가 하나 더 늘었다.
도시의 미래상이 단순한 한 가지 방향으로 전개되라는 법은 없다. 다양하고 복합적인 개념의 도시상이 세계적인 트랜드이기도 하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동전의 양면이 함께 보여질 수 없고 개발과 보전의 정책이 공존할 수 없듯 산업도시와 전원도시를 양립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어느 한쪽을 희생하지 않을 수 없다. 개발가능한 토지를 양껏 개발해 수익성을 높이고 경제적 효과를 제고하는데 치중하려면 쾌적한 주거환경을 가진 문화도시의 미련은 버려야 한다.
또 그만큼 시민을 설득해야 한다. 반면에 자연환경의 가치를 보전하고 주거문화를 최대한 끌어올려 살기 좋은 전원도시를 만들려 한다면 무분별한 공단개발 등을 포기해야 한다.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을 순 없다. 더욱 중요한 것은 이런 도시 정체성의 확립을 위해서는 시민의 합의를 이끌어내는 과정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훌륭한 지도자는 시민의 중지를 모아 올바른 정책을 수립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시민의 뜻을 모으는 작업은 투명하고 공정하게 진행해야 한다. 그래야 마음에서 우러난 지지를 받을 수 있다. 그 다음 합의된 힘을 바탕으로 슬기롭게 추진하는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 도시의 미래가 어느 한 위정자에게 달려있진 않지만 잘못된 지도자를 뽑는다면 그만큼 도시 발전은 요원해질 수밖에 없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하겠다.
새로운 한해가 시작된 지금 사회의 많은 분야에서 개혁과 혁신을 외치고 있다. 분명한 것은 우리 자신부터 변해야 한다는 것이다.